- 영문명
- A study on the expansion of the facility of port rail depot
- 발행기관
- 한국물류학회
- 저자명
- 윤동희(Yun, Dong Hee) 배은선(Bae, Eun Sun) 이용상(Lee, Yong Sang)
- 간행물 정보
- 『학술발표대회 논문집』2011년도 동계공동학술발표대회 및 제2회 물류정책포럼, 447~46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03

국문 초록
항만구역에 있는 철도시설 중에서 비교적 규모가 있는 항만철송장은 현재 부산항지역과 광양항지역에 배치되어 있다. 항만철송장은 철도물류의 시종 역할을 하는 주요한 기능이나 현재는 선로배선 규모, 하치장 면적 둥에 있어서 철도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여 비교적 활성화하지 못한 상황이다.
또한, 활성화되어 있더라도 이미 처리용량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더 이상 철도수송물량을 증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으로, 철도컨테이너 수송사업 활성화를 위해선 근본적으로 항만철송장 시설규모에 대한 재산정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철송장의 시설배치 상 문제점 해결을 위해서 부산 북항의 철송장을 중심으로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Large scaled railway freight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harbors are located in Busan port and Gwangyang port. The port rail depot plays an important role as the departure and destination function of railway Logistics. However, presently, it is not relatively vitalized because it is not reflect the railway freight transportation’s characteristics such as scale of railway tracks or yards area.
In addition, even if port rail depot is vitalized, processing capacity is already saturat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crease rail transport quantity. To activate railway container transportation business, it is very necessary to recalculate the facility size of port rail depots.
Focused on rail depot of the Busan north port,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s of port rail depot facility that has currently opened and finds some alternatives to resolve them.
목차
ABSTRACT
국문 요약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부산권역 항만철송장 현황
4. 부산권역 항만철송장의 시설부문 문제점
5. 부산북항 항만철송장의 시설 개선방안
6. 결론
[참고자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