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nceptualization of team trust and scale development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안성익(Ahn, Seong Ik)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2011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419~44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1.26
국문 초록
기존 연구들은 팀에 대한 신뢰를 팀의 구성원(팀장 혹은 팀동료)에 대한 인적 신뢰로만 한정하였다. 하지만 신뢰의 유형을 살펴보면, 신뢰는 사람과의 직접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축적된 지식과 친밀도를 통해서 형성되는 인적 신뢰뿐만 아니라 구조 혹은 제도 등의 추상적 시스템에 대한 신뢰 혹은 이것이 사람에 대한 신뢰의 원천으로 작용하는 제도적 신뢰가 있다. 또한 팀의 정의를 살펴보면, 팀이 단순히 상호의존적 사람들의 집합체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조직 내의 하위 시스템으로도 인식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스템 신뢰와 제도적 신뢰를 묶어서 비인적 신뢰라고 하고, 팀신뢰를 인적 신뢰와 비인적 신뢰를 포함하는 다차원 구성개념으로 정의하였고, 이의 하위차원으로 팀장 신뢰, 팀동료 신뢰, 비인적 팀신뢰를 제시하였다. 그런 다음, 본 연구가 제시한 팀신뢰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해서 기존 인적 신뢰 측정 문항과 본 연구가 새롭게 개발한 비인적 신뢰 측정문항을 동원하여 자료를 수집한 다음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정적 요인분석 결과, 팀장 신뢰, 팀동료 신뢰, 비인적 팀신뢰는 서로 개념적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이 세 차원이 팀신뢰를 반영하는 확인하기 위해서 전반적 신뢰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팀장 신뢰, 팀동료 신뢰, 비인적 팀신뢰는 모두 전반적 팀신뢰와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가 새롭게 개발한 비인적 팀신뢰는 팀장 신뢰와 팀동료 신뢰가 통제된 상태에서도 전반적 팀신뢰에 대해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Up to now, most studies regarded team trust only as interpersonal trust on the team members. However, trust can be categorized as (inter)personal trust and impersonal trust. It is called personal trust when the target of trust is men and it develops on the basis of familiarity and knowledge which accumulated through the direct interaction between trustees and trustors, whereas it is called impersonal trust when the target of trust is not men but abstract systems such as a structure and institution or trust between men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abstract system. Team can also be cognized as a collective of task interdependent people and as the subsystem of upper organizational system. Considering the personal and impersonal side of trust and team, we expanded team trust into multi-dimensional construct encompassing personal trust dimension and impersonal trust dimension and presented new model for team trust that is consist of team leader trust, team coworker trust, and impersonal team trust.
To verify the dimensionality of team trust, I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with existing items for personal trust and newly developed items for impersonal trust. After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with structural equation, I showed the team trust is divided into three factors; team leader trust, team coworker trust, and impersonal team trust. Adding to it, I also investigated whether team leader trust, team coworker trust, and impersonal team trust explain general team trust all together wit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ll the three subdimensions explained general team trust significantly and the effect of impersonal team trust which is newly developed in this study remained even after team leader trust and team coworker trust are controlled. With this result, I concluded team trust i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encompassing personal trust and impersonal trust.
목차
초록
Ⅰ. 문제제기
Ⅱ. 신뢰에 대한 이론적 배경
Ⅲ. 다차원 구성개념으로서의 팀신뢰와 하위 차원
Ⅳ. 척도개발
Ⅴ. 척도평가
Ⅵ. 결론 및 토론
Ⅶ.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