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박소영 이상민 노세리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2011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91~10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1.26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근로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행요인으로 인사제도를 주목하고자 한다. 한국 기업들은 연공서열에 근거한 전통적 인사관리를 벗어나 성과주의 인사제도를 도입하였으나 이는 성과에 기반한 보상이나 평가의 특성을 가진 경쟁차원이 강조되어왔다. 이러한 경쟁형 위주의 인사제도는 근로자들 사이의 협력을 저해하고 대면문화를 조장하는 것을 통해 근로시간을 높일 수 있다. 반면, 성과주의 인사제도 중에서도 상호 협력이나 신뢰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는 몰입차원의 인사제도는 근로자들 사이의 협력을 증진할 뿐 만 아니라 재량적 행동이 가능하게 하고 고용안정을 통한 신뢰관계 형성을 통해 근로시간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사시스템을 경쟁형 인사제도와 몰입형 인사제도로 나누어 각각의 인사제도가 근로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근로시간에 대해 경쟁형 인사제도와 몰입형 인사제도의 상호작용이 어떠한 효과를 가지는 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제공하는「2009 사업체패널조사」를 사용하였으며, 결측값을 제외한 사업장 1731개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경쟁형 인사제도는 근로시간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몰입형 인사제도는 근로시간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근로시간에 대하여 경쟁형 인사제도와 몰입형 인사제도는 부(-)적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몰입형 인사제도는 경쟁형 인사제도를 통해 실제 근로자들이 일하는 시간을 높이는 부정적인 효과를 상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문 초록
목차
< 요약 >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가설설정
Ⅲ. 실증연구
Ⅳ. 분석결과
Ⅳ.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