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emale Highschool Students’ Juvenile Delinquency and Anger in the Person In The Rain test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주리애(Jue Juliet) 김태은(Kim Tae Eu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5券 3號, 217~24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PITR)에 나타난 여고생의 비행의 정도와 분노 수준을 평가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여자고등학생 236명이며, 연구도구는 PITR과 비행척도,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상관분석과 t-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ITR에서 세 가지 척도는 서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여고생들이 비행 행동을 많이 할수록 PITR의 스트레스 척도값은 높게 나타나고 자원척도값이나 대처능력 척도값은 낮게 나타났다. 셋째, PITR은 특성분노와 어떠한 상관도 보이지 않았으며, 분노의 표현 양식 중 유일하게 분노 표출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물웅덩이를 그린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면 전자의 폭력 비행이 유의미하게 많았고, 우산을 그린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면 후자가 분노 억제의 수준이 더 높았다. 생략 변인만을 사용해서 비행 및 분노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생략된것의 개수가 많을수록 전체 비행, 지위비행, 성비행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 결과 비행을 예측하는 PITR 척도는 대처능력 척도가 유의미한 지표임이 나타났고, 분노 표출을 설명하는 변인은 자원 척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PITR이 여고생의 비행 및 분노표현양식을 진단할 수 있는 투사검사로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연구는 남자 고등학생과의 비교 연구 및 전국의 다양한 지역에 거주하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확대하여 진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differences in the rea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 In The Rain(PITR) test to the degree of anger and of juvenile delinquenc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 236 female highschool students in the capital area, and the research tools are PITR test, Juvenile Delinquency Scale, and STAXI-K.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three scales of PITR showed high correlations. Secondly, the female highschool students, who often experience delinquency, show high scores in stress scale and low scores both in resource scale and coping ability scale. Thirdly, PITR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rait anger, but it h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nger-out. Fourthly, a puddle-drawn group showed higher violence than a no-puddle group. An umbrella-drawn group showed higher Anger-in scores than a no-umbrella group. Analysis of omission factors revealed that the more omissions, the higher degree in total delinquency, status delinquency, and sexual delinquency. Lastly,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oping ability scale in PITR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for delinquency, and the resource scale in PITR for Anger-out. With all these results, PITR can be a projective test to diagnose juvenile delinquency and anger expression style. Future study might expand participants to students in various region as well as to male participant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