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eking Instruction Method of Formative Language for Visual Communication: focused on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탁형수(Tak Hyeong Su)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5券 3號, 147~17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문화 시대에 미적 사고와 감성을 표현하는 조형언어를 활용하여, 시각적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미술교육에서 학습자가 미적 체험한 대상을 표현하는 활동이나 감상활동 과정에서 자기의 생각을 표현하고 외현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조형언어가 없다면 시각적 의사소통이 어렵다. 따라서 교사는 시각적 의사소통의 미적 매개체인 조형요소와 원리를 포함한 조형언어를 미술교과 전 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인 교사는 시각적 의사소통의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서 조형요소와 원리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교수법을 찾고자 하는 의식을 보였다(36%). 하지만, 조형언어를 습득할 수 있는 학습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지는 못했다. 이에 조형요소와 원리를 미술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지도한 학급의 구성원이 단순한 표현위주의 수업을 수행한 학급 구성원보다 월등한 조형요소의 습득과 시각적 의사소통을 수행하면서 표현활동과 감상활동에서 높은 적용력을 보였다(p<.05). 따라서 조형언어를 활용한 시각적 의사소통의 지도를 위해서는 수업 시간에 조형언어와 원리를 지속적으로 지도하여 아동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k instruction method to do visual communication by using formative language that expresses aesthetic thinking and sensitivity in the period of visual culture. Without formative language that can communicate overtly and express one’s own thoughts in the process of making works or appreciation activities that a learner expresses aesthetic experience and intuited objects, it is difficult to have a visual communication. Therefore, teachers should teach the formative language including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which are aesthetic medium of visual communication, through the whole curriculum of art class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eachers, who were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showed consciousness to find theoretical background and teaching method for the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to seek the methods of visual communication (36%). However, it was not suggested enough that learning opportunities to acquire formative language. Thus, class members instructed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in every art class periodically showed higher adaptation ability in making art works and appreciation activities by performing acquisition of superior formative elements and visual communication than class members performed classes focusing simple expression(p<.05). Therefore, to instruct visual communication by using formative language, it should be induced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and enhanced comprehension of students by continuous instruction of formative language and principles in the class.
목차
〈요약〉
Ⅰ. 여는 글
Ⅱ. 조형언어의 개념과 시각적 의사소통
Ⅲ. 조형언어를 활용한 시각적 의사소통 지도 방안
Ⅳ. 맺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