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n Consumer Evaluation of Product Brand at the Store to Imitated Store Brand of High Market Position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이영일(Lee, Young-Il)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29권 제5호, 33~4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시장지위가 높은 점포 브랜드의 유사 점포브랜드가 판매 상품 브랜드의 소비자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2회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실험1에서는 유명 점포브랜드와 유사 점포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선호 및 구매의도 변화를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해당 점포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브랜드의 시장지위가 높고 낮음에 따라 어떤 소비자 행동을 유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실험2에서는 밝혀진 주장의 일반화를 더 높이기 위해 소비자가 지역사회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일반 점포명 점포와 유사 점포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선호 및 구매의도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유사 점포브랜드를 통해 점주가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다른 일반 점포명 점포나 유명 점포브랜드에 비해 낮을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에서 시장지위가 높은 개별 상품브랜드는 점포브랜드의 유형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장지위가 낮은 개별 상품브랜드는 유사점포브랜드에서 판매 될 때 소비자 선호 및 구매 의도가 가장 낮았다. 또한 유명 점포브랜드, 일반 점포명 점포, 유사 점포브랜드 중에서 소비자로부터 가장 낮은 선호 및 구매의도를 받는 것은 유사 점포브랜드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consumer evaluation of product brand at the store to imitated brand store of brand of high market position. And 2 experiments were done. The purpose of 1st experiment is that investigate the change of purchase intention and consumer preference on the famous store brand and imitated store brand and study a cause of consumer behavior coming from market position of product brand. And at the second experiment, the purpose was that generalize the result of 1st experiment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change of purchase intention and consumer preference on imitated store brand and neighborhood store brand. And also, another aimof this research is that studywhich store brand canmakemoneymore than others to help achievement of the purpose of second experiment.
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is paper support that the brand which has high market position is always good to get nice consumer evaluation even though it is not important that wherever it is displayed. But the brand which has low market position is always bad to get good consumer evaluation even though it is not important that wherever it is displayed. And also, the imitated store brand has lowest evaluation of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 among the famous store brand, neighborhood store brand, and imitated store bran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실험 1
Ⅳ. 실험 2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