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Korean Wave Diffusion Strategy through Success of Culture Contents in Thailand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배일현(Bae, Il-Hyun) 김형식(Kim, Hyung-Sik)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29권 제5호, 21~3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동남아 한류의 중심지인 태국의 소비자 383명이 응답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콘텐츠 제품에 대한 이미지 풍부성이 높을수록 한류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류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갖는 경우 한국 소비재 제품에 대해 풍부한 이미지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류 태도와 한국에 대한 이미지 풍부성의 관계와 한국 소비재 제품과 한국이라는 국가의 이미지 풍부성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재 제품에 대해 풍부한 이미지를 가질 수록 보다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에 대한 이미지 풍부성과 소비재 제품 태도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비재 제품에 대해 호의적으로 평가할수록 문화콘텐츠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보다 풍부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전 연구와는 달리 한류에 대한 태도가 직접 소비재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동남아 시장에서 한류를 이용한 마케팅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또한 문화콘텐츠제품을 이용한 한류 확산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영문 초록
In late 1990’s Korean TV dramas, POP music and cinema fascinating Asian people fromNorth East Asia(China, Japan, HongKong, Taiwan) to South East Asia(Thiland, Vietnam,Malaysia and Singapore). This phenomenon are called the “KoreanWave” or “Hallyu”.
So, this research examines about KoreanWave in Thailand. And, we also study relationship of attitude on KoreanWave, plenty of image on Korean consumer goods, plenty of image on Korea, attitude on Korean consumer goods and plenty of image on Korean cultural contents goods.
In conclusion, the 8 hypothesis are all supported. It is verified that plenty of image is useful factor.
This study’s results are can use to raise plenty of image in Thailand. Also, companies can use to improve its sale through a our study’s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가설설정
Ⅳ. 가설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