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Syntactic Ability of School-age Children and Adolescents in Expository and Narrative Task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자성(Ja Seong Kim) 김정미(Jung-Mee K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6권 제4호, 540~558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아동들은 학령전기에 기본적인 구문습득을 완성한 이후에도 학령기와 청소년기를 거쳐 구문능력을 지속적으로 발달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들이 학년, 담화유형 그리고 언어양식에 따라 산출성, 구문복잡성 그리고 종속절유형별 사용률에 있어서 어떠한 발달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서울과 경기 및 충청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 6학년과 중학교 2학년 학생들 총 60명을 대상으로 학교에서 흔히 겪는 또래갈등에 대한 짧은 글을 제시하였다. 아동들은 글을 읽고 말하기와 쓰기로 갈등 상황, 문제점, 해결방법 그리고 결과에 대해 묻는 질문에 대답함으로써 설명담화를 산출하고, 이와 유사한 경험에 대해 배경, 사건전개, 결과, 반응과 관련한 경험이야기담화를 산출하였다. 아동이 산출한 말하기와 쓰기자료를 전사한 후 학년은 집단 간 독립변인, 담화유형 및 언어양식을 집단내 독립변인으로 하고, 전체 T-unit 수, 전체 낱말수, MLT-w, 절밀도, 종속절 유형별 사용률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반복측정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산출성(전체 T-unit수, 전체 낱말수)과 구문복잡성(T-unit길이, 절밀도)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경험이야기보다 설명에서, 쓰기보다 말하기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절 유형별 사용률 분석결과, 명사절, 관형절, 부사절 사용률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년효과, 담화효과 및 언어양식효과 및 상호작용효과에 대해 논의하고 학령기 아동의 언어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의 고려할 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Children continuously develop syntactic ability through adolescenc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syntactic abiliti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poken and written expositories and narrative discourses. Methods: Sixty typically developing 4th and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8th grade junior high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Seoul, Kyonggido and Chungchugnamdo. After the students read two passages which included a peer conflict situation occurring in a school setting, they produced spoken and written discourse in expository and narrative form. The spoken and written material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otal number of T-units and TNW, MLT-w, clausal density and percentage of subordinate clauses per T-unit. Results: Productivity measures including total number of T-units and TNW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grade, genre and mode. Syntactic complexity as measured by MLT-w and clausal density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in grade, genre, and mode, an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re and mode. The percentage of subordinate clauses per T-unit including nominal clause, relative clause and adverbial clau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grade, genre and mode. Discussion &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group effect, genre effect, and mode effect are discussed in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as to what should be considered before analyzing spoken and written materials are giv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 1〉 또래갈등해결과제
〈부록 - 2〉 인터뷰 절차
〈부록 - 3〉 T-unit 분석기준
〈부록 - 4〉 종속절 분석기준
ABSTRACT
REFERENCES
키워드
학령기
청소년
산출성
구문복잡성
담화유형
언어양식
종속절 유형별 사용
설명
경험이야기
전체 T-unit수
전체 낱말수
절밀도
명사절
관형사절
부사절
school age children
adolescents
syntax
spoken
written
expository
narrative
total number of T-units
TNW
Mean Length of T-unit (MLT-w)
percentage of subordinate clauses per T-unit
nominal clause
relative clause
adverbial claus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