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ta-Analysis of Parent Training : Focus on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정필연(Pilyeon Jung) 임동선(Dongsun Y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6권 제4호, 521~53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 발달에 있어서 부모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재효과의 일반화를 촉진하기 위해 부모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언어장애아동부모를 대상으로 다양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실시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현재까지 이루어진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언어장애아동부모에게 실시한 부모교육이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과 부모의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능력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주제어를 통해 국내외 관련문헌을 검토한 후 연구의 포함과 제외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20개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부모교육을 통한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과 부모의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능력의 효과크기는 무선효과모델(random effect model)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결과: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언어발달장애, 발달장애 및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많이 이루어졌고,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유형은 Hanen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첫째, 부모교육은 아동의 수용 및 표현언어능력, 문법, 주고받기, 반응성 등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부모의 상호작용능력에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언어발달장애, 발달장애 및 표현언어지체아동 집단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부모교육프로그램은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과 부모의 상호작용능력에서 모두 효과적이며 임상에서 부모교육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Par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ir children’s language and communicative development. In order to facilitate the generalization of language intervention, parent training programs have been widely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metaanalys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extant literature on parent training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on both children’s and parents’ language and communication skills. Method: Using Meta-Analysis (CMA2, Comprehensive Meta-Analysis-Ⅱ, 2005),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pproach was taken to analyze 20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ve and exclusive criteria of our research. Effect sizes for children’s and parents’ overall language and communicative skills were analyzed via the random effect model. Results: There were three main findings. First, the Hanen Program was found to be the most utilized parent training program. Additionally, the general target population for parent training was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developmental disorders and autistic spectrum disorders. Second, the meta-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a parent train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language and communicative skills, receptive, expressive language, grammaticality, turntaking, responsiveness, and parent interaction. Lastly, three groups,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developmental disorders and expressive language delay, benefited most from the parent training.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parent training programs are effective and helpful for both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increasing language and communicative skills. Thus, parent training programs should be actively implemented in the field of speech-language clinics for the best communicative outcom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 1〉 측정도구 및 측정내용
〈부록 - 2〉 연구대상의 특성
〈부록 - 3〉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ABSTRAC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