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the Wholesale Price Discount on the Price of Oil Companies and Stations: Evidence from the Korean Gasoline Market
- 발행기관
-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 저자명
- 김태환 박향진 이민지
- 간행물 정보
-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466~490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0.30

국문 초록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경제성장은 둔화되고 소비자물가는 큰 폭으로 올랐다. 특히 서민물가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휘발유와 경유가격의 지속적인 상승은 자동차 운전자들에게뿐만 아니라 국민경제에도 큰 경제적인 부담을 주고 있다. 때문에 정책당국자는 유가의 하향안정화를 위해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SK에너지를 시작으로 정유 4사는 2011년 4월 7일부터 3개월간 한시적 가격할인 정책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SK에너지는 리터당 100원의 카드사 청구할인이나 혹은 자사의 캐시백의 조치를 취하였으며, 나머지 3사는 공급가격을 정상가격보다 리터당 100원 인하하는 조치를 하였다. 본 연구는 석유공사의 자료를 사용하여 정유사의 일시적 공급가 할인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해당 기간에 정유4사의 평균공급가격은 100원보다 적게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었고, 4개 주유소의 평균가격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할인방식을 다르게 한 SK와 나머지 3사의 세부적인 비교분석 결과, SK에너지는 3사에 비해 더 많은 가격할인은 한 것으로 추정되었고, SK주유소를 제외한 3개 주유소는 해당 기간 동안 가격을 인상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정유사의 공급가 인하의 효과가 소비자에게 모두 전가되지 못하고 정유사 또는 주유소 마진으로 흡수되었음을 의미하며, 한시적인 공급가 인하의 효과는 유가의 하향안정화에 큰 기여를 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우리나라 정유산업과 휘발유 소매시장의 특성
Ⅲ. 자료 및 분석모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추정결과의 견고성(Robustness) 검정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