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edonic Experiences, Purchase and Revisit Intention, and In-Store Emotion and Sex Difference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전윤찬(Jeon, Yoon-Chan) 신형덕(Shin, Hyung-Deok)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29권 제2호, 175~18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0

국문 초록
매장 내에서 소비자가 경험하는 쾌락적 경험(he donic experience)이 오감을 통해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쾌락적 경험의 영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남녀간 성별 차이와 매장 내 감정이 소비자의 구매활동에 있어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연구의 접합점, 즉 쾌락적 경험이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있어서 성별 차이와 매장 내 감정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상적인 매장에서의 쾌락적 경험을 제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성별 차이와 매장 내 감정을 조절변수로 한 쾌락적 경험의 역할을 조사한 결과 매장 내 감정은 구매 의도와 재방문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쾌락적 경험과 더불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절변수의 역할을 수행함을 발견하였다. 성별 차이는 구매 의도와 재방문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했으나 쾌락적 경험과의 조절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매장내 체험적 환경이 매장 내 감정과 상호작용적 효과를 가짐을 보여주는 탐색적 실증연구로서 점차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체험 마케팅분야의 연구에 공헌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hedonic experiences on purchase and revisit intention, especially when the relationship is moderated by in-store emotion and sex difference. There has been growing literature on the role of consumer experiences in stores, and also literature on how emotion and sex difference work in the context of consumer behaviors. However, these two streams of studies have not been combined to see how hedonic experiences may interact with emotion and sex difference. Based on the survey on hypothetical shopping environments, we found that the hedonic experiences have moderating effects between in-store emotion and purchase/revisit intention, but not between sex difference and purchase/revisit int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가설 설정
Ⅳ. 연구방법
Ⅴ. 논의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첨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