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Longitudinal Analysis of Performance Pay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 Group Achievement
이용수 11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Hong, Saahoon(홍사훈) Ryoo, Ji Hoon(류지훈) William M. Bart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5권 제4호, 219~23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0

국문 초록
미국의 아동낙오방지법(NCLB, 2001)의 가장 큰 노력은 표준화된 학업성취도 검사를 통해 다양한 문화적, 경제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 간의 학력수준의 차이를 극복하고자 함에 있다. 특히, 특수교육요구학생들에 대한 책무성(Accountability)에 대한 강조는 장애인 교육법(IDEIA, 2004)을 통해 보다 구체화되었다. 미네소타의 교원성과급제(Q Comp)는 교사의 역량을 극대화함으로써 학생들의 학력신장을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미네소타 교원성과급제와 초등학교 특수교육요구학생의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특수교육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학년의 변화와 함께 현저하게 낮아지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Cohort 그룹을 이용한 선형혼합모형(Linear Mixed Model; LMM)은 두 번째 Cohort 그룹의 읽기를 제외한 모든 분석에서, 미네소타 교원성과급제가 초등학교 특수교육요구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음을 밝혀 주었다. 두 번째 Cohort 그룹의 읽기 성취도에서 나타난 통계적 유의성 또한 교원성과급제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표준화된 전수조사에 참여하는 특수교육요구학생들의 학력신장과 효과적인 교원성과급제 연구를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영문 초록
Negative achievement growth of a special education student group was identified as they progressed from third to fifth grade. Linear Mixed Model(LMM) of three cohort groups was also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student group achievement and performance pay for special and regular education teacher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was no positive outcome associated with performance pay; thus,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pay for teacher efficacy. With respect to special education student learning, performance pay should be reorganized to support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