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n Semantic Information Processing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희(Lee, Young-Hee) 박찬웅(Park, Chan-Woong)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5권 제4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어휘의 의미 수준에 따른 일반학생과 지적장애학생의 정보처리과정 특성을 비교해 보기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 목적으로는 첫째, 의미 수준별 어휘의미과제에 대한 수행 정확도 및 속도의 차이를 밝히고, 둘째, 의미 수준별 문장의미과제에 대한 수행 정확도 및 속도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적장애학생과 일반학생 각 25명을 연구대상으로 의미 수준별 어휘판단과제를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지적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은 의미 수준별 어휘의미 처리과정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둘째, 지적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은 의미 수준별 문장의미 처리과정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후속 연구에서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과 지각적 처리과정 특징을 고려하는 방안으로 추진할 것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lexical meaning processing between intellectual
disabl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with the same mental age). More concretely,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of the following; First, to find out the difference about response accuracy and speed of lexical meaning task in
regard to semantic relation level(concept, categorization, association) between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Seco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about the response accuracy and the response speed of sentence meaning task in regard to semantic relation level(concept, categorization, association).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consisted of two groups; twenty fiv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wenty five students with same mental age. The implement of this research is lexical decision task that classified lexical meaning task and sentence meaning task and the method of the research is to apply it to the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to semantic processing by semantic relation level between the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 group and the general student group.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to context processing by semantic relation level between the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 group and the general student group. Therefore these are the conclusion to accept differential theory about lexical ability of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lexical instruction and learning strategy. According to these results, I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investigate communication in daily life, perceptional processing with concrete experimental design in the latter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시사점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