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Historical study of the pattern -ko kata
- 발행기관
- 형태론
- 저자명
- 권용경(Kwon, Yong-kyeong)
- 간행물 정보
- 『형태론』형태론 6권 2호, 317~33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9.30

국문 초록
본고는 ‘-고 가다’ 구성의 통시적 변화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대국어에 나타나는 ‘동시 진행’의 ‘-고 가다’ 구성이 중세국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 여러 논문에서 지적되었는데, 본고에서는 ‘동시 진행’의 ‘-고 가다’ 구성이 나타나는 양상을 중세국어와 근대국어 자료에서 고찰하였다. 중세국어 자료에서 ‘동시 진행’의 ‘-고 가다’ 구성은 거의 볼 수 없었지만, 16세기 자료에서 몇몇 예를 찾을 수 있었다. 근대국어 자료에서는 ‘동시 진행’의 ‘-고 가다’ 구성이 점점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중세국어에서 생산적으로 쓰이던 ‘-어 가다’ 구성이 점점 사라지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cess of historical change in the pattern -ko kata, a pattern used to express concurrent movement in contemporary Korean. While some articles have argued for the absence of this structure in Late Middle and Early Modern Korea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lthough few examples can be found in Late Middle Korean, examples of the pattern in -ko kat' are attested in 16th-century Korean. Furthermore,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frequency of this form has actually increased in modern Korean, whereas the pattern in '-e kata' that was used frequently in Late Middle Korean has gradually decreased in usage.(Kanda Unversity, Japan).
목차
1. 서론
2. ‘동시 진행’의 의미를 보이는 동사 유형
3. 중세국어에서의 ‘-고 가다’ 구성
4. 근대국어에서의 ‘-고 가다’ 구성
5. ‘동시 진행’의 ‘-고 가다’ 구성의 변화 양상
6.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