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other look at the grammatical category of -ita
- 발행기관
- 형태론
- 저자명
- 황화상(Hwang, Hwasang)
- 간행물 정보
- 『형태론』형태론 7권 1호, 135~15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30

국문 초록
‘이다’ 선행 명사구의 격 문제, ‘이다’ 구문에서 부사의 위치 문제, ‘이다’ 선행 명사의 구개음화 문제 등을 자연스럽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이다’를 용언으로 보기보다는 접사로 볼 필요가 있다. ‘이다’ 선행 명사(구)에 격이 할당되었다는 경험적 증거를 찾기 어렵고, 국어 문장에서 그 위치가 자유로운 부사가 ‘이다’와 선행 명사구 사이에는 개재할 수 없으며, 형태소 경계를 사이에 두고 일어나는 음운 현상인 구개음화가 ‘이다’와 선행 명사 사이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다’를 어휘부에서 선행 명사에 결합하는 (그러나 선행 명사의 통사범주를 폐쇄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어휘적 접사와 다른) 통사적 접사로 본다. 이렇게 봄으로써 ‘이다’가 선행 명사에 형태론적으로 의존적이라는 것을, 그리고 ‘이다’와 선행 명사의 결합형이 관형어의 수식을 받는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포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entral issue related to the analysis of -ita (copular be), and to review the grammatical category of -ita. Studis of the grammatical category of -ita can be classified into two large groups: those regarding -ita as a verbal element (verb, adjective, copula, etc.) and those treating -ita as an affix (case marker, ending, syntactic affix, etc.). Among these, we try to show that -ita is best treated as an affix (syntactic affix) for the following reasons: the noun phrase syntactically related to -ita is assigned no case; the noun morphologically or phonologically combined with -ita is palatalized; and no adverb can intervene between -ita and the noun (or noun phrase) preceding it. To explain two prominent properties of -ita - namely, that -ita is dependent on its noun morphologically, and that adnominal elements modify ‘N+ -ita’, I propose that -ita is combined with its noun in the Lexicon. This is because all affixations are essentially morphological, rather than syntactic phenomena.
목차
1. 머리말
2. ‘이다’의 문법범주 설정 논의의 쟁점
3. ‘이다’의 문법범주
4.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