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On Covert Sino-Korean Dependent Nouns
- 발행기관
- 형태론
- 저자명
- 이선웅(Yi, Seon-ung)
- 간행물 정보
- 『형태론』형태론 6권 2호, 251~27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9.30

국문 초록
국어의 고유어 의존명사에 대한 연구 업적은 매우 많으나 한자어 의존명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혀 없었는데, 그것은 앞서 연구한 고유어 의존명사가 대개 통사적 의존성과 의미적 형식성/추상성을 함께 지니고 있기 때문에 두 가지 특성을 분리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은 데에서 기인한다. 본고에서 행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존명사와 형식명사의 개념을 분리하여 인식함으로써 한자어 의존명사는 통사적으로는 의존적이되 의미적으로는 형식적/추상적이지 않은 부류로 파악할 것을 주장하였다. 둘째, 기존 논저와 사전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한자어 의존명사의 목록을 제시하고 각 항목의 특성을 기술하였다. 셋째, 문제의 대상이 접미사나 어근으로 볼 수 없고 의존명사 부류로 보아야 함의 타당성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A great deal of research has appeared on pure Korean dependent nouns, but very works have been published on Sino-Korean dependent nouns. This is because pure Korean dependent nouns, which were studied earlier than Sino-Korean dependent nouns, usually show both syntactic dependency and semantic defectiveness/abstractness; researchers were slow to distinguish these two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I argue that
1) Sino-Korean dependent nouns are syntactically dependent but not semantically defective/abstract by distinguishing the notions of ‘dependent noun’ and ‘defective noun’. 2) I give a list of Sino-Korean dependent nouns which have not previously been described in dictionaries or research literature and then describe the character of each item. 3) I argue that the category of forms in question is neither suffix nor root, but is instead ‘dependent noun’.(Ewha Women's University).
목차
1. 머리말
2. 의존명사와 형식명사의 개념
3. 한자어 의존명사의 목록과 특징
4. 한자어 의존명사의 범주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