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ommunicative Functions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Hearing Los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강정숙(Geong Sook Kang) 민병란(Byung Ran Min)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1권 제3호, 179~19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1.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언어이해능력이 유사한 청각장애아동과 건청아동이 의사소통 기능의 사용에서 차이를 보이는가를 알아보았다. 언어이해능력이 유사한 청각장애아동 집단(4~6세, 9명)과 건청아동 집단(4~5세, 9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시 두 집단 간에 다섯 가지 범주의 의사소통 기능의 사용비율에 차이가 있는지, 각 범주별 하위 의사소통 기능의 사용비율에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청각장애아동집단과 건청아동집단은 의사소통 기능의 범주별 사용비율에서 대체적으로 유사한 모습을 보였으며,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범주는 객관적 언급 1개 범주이었다. 둘째, 청각장애아동집단과 건청아동집단은 하위 의사소통기능의 사용비율에서도 유사한 모습을 보였으며,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하위 의사소통기능은 이름대기, 시간, 속성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할 때 청각장애아동은 언어이해능력이 유사할 경우 의사소통 기능의 사용에서 건청아동과 특징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whethe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have any difference in their use of the communicative functions compared with normal children, when they are both similar in language comprehension ability. The study was based on the previous findings that the pragmatic development relates to the language development in other areas, as well as preceding research results that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have difficulties in developing the communicative abilities. The study subjects were a group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nine children aged between four and six) and a group of normal children(nine children aged between four and five) that are similar in language comprehension ability. The study searched for any difference in the communicative functions of five categories between the two groups and any difference in the sub-communicative functions by each category during the mother-child interaction. In the results, firstly, both groups generally showed similar aspects in the usage ratio of the communicative functions by category and only one category, the comments category,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ly, both groups also represented similar aspects in the usage ratio of the sub-communicative functions and the sub-communicative functions that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labeling, time and attribution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may be concluded that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do not show any characteristic different from normal children in using the communicative functions when they have similar language comprehension ability.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