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ocial-Communicative Competence to Promote Authentic Inclusion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소현(Lee, SoHyun)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8권 제1호, 300~325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3.30

국문 초록
사회적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은 밀접한 연관성을 보이는 영역들이다. 궁극적으로 언어 발달로 이어지는 의사소통 발달은 출생과 더불어 양육자와의 사회적 상호작용 맥락 내에서 시작된다. 의사소통 기술은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사회적 상호작용 상황 안에서 점점 더 향상되며, 동시에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아동으로 하여금 좀더 사회적으로 유능하게 만듦으로써 상호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사회-의사소통 능력 증진을 위한 교수는 이러한 두 영역의 발달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 범위 내에서 함께 고려되어야 하며, 사회-의사소통 능력이 발생하는 자연적인 환경에서 관련 행동의 형태와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진단을 통해서 적절한 교수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사회-의사소통 능력의 결여로 인해서 통합 현장에서 진정한 소속감을 성취하지 못할 수도 있는 장애 유아들에게 이러한 사회-의사소통 능력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진단과 교수가 어떠한 절차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of social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 abilities among young children has been acknowledged b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lthoug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gree that social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are closely related, there is relatively little research that specifically identifies and examines effective peer-related social-communicative competencies. The use of specific social-communicative skills is likely to facilitate peer-related social-communicative competence in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to promote social integration in inclusive preschool settings. Therefore,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current research in the area of social-communicative competence of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elays as well as a discussion of social 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in inclusive preschool classrooms. This paper presents (1) an explanation on phenomena of social acceptance and rejection of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elays occurring in inclusive settings, (2) an overview of peer-related social-communicative competencies to target for intervention, (3) strategies for assessing peer-related social-communicative competencies, and (4) an intervention method for teaching peer-related social-communicative cometencies to preschool-ag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s a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ed ecological framework for guiding future teaching and research efforts.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사회-의사소통 능력 증진의 필요성
III. 사회-의사소통 능력 증진의 실제
IV.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