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trieval of Nouns and Verbs in Broca's and Wernicke's Aphasia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현정문(Jung Moon Hyun) 김향희(Hyang Hee Kim) 신지철(Ji Chul Shin) 서상규(Sang Gyu Seo)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8권 제3호, 171~18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이름대기 과제를 사용하여 베르니케실어증과 브로카실어증 환자에게 명사와 동사의 인출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명사와 동사의 인출 차이가 병소부위에 따라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 가를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환자군간 비교에서 베르니케실어증 환자군은 브로카실어증 환자군에 비해 명사의 정반응수가 유의하게 적었다. 그리고 환자군 내 비교에서 브로카실어증 환자군은 동사의 정반응 수가 명사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또한 명사의 손상을 보이는 환자군은 중·하부 측두엽의 손상과 밀접한 관계를 보인 반면, 동사손상 환자군은 병소부위와 뚜렷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브로카실어증 환자가 동사의 손상을 보이는 반면, 베르니케실어증 환자는 명사와 동사 모두에서 인출장애를 보였으므로, 두 환자군에 대한 명사와 동사의 이중해리(double dissociation)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명사손상이 뚜렷하게 관찰되는 환자들에게서 특정한 병소부위와의 관련성이 있을 수 있음이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ascertain whether verb or noun deficits are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type of aphasia and whether they are related with a specific brain lesion sit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naming performance obtained by both Broca's and Wernicke's aphasic groups on verbs was low- er than that on nouns. However, only Broca's aphasics were significantly more impaired on verb than noun namings. In addition, Wernicke's noun naming was significantly poorer than Broca's noun naming. (2) All of the patients with severe noun deficits had lesions in the left middle-inferior temporal lobules, but patients with verb deficits did not reveal common lesions. The results were contrary to the common belief in that verb deficits were not a unique feature for Broca's aphasia. It is noteworthy that all of the patients with noun deficits had lesions essentially involving the left middle-inferior temporal lobule, indicat- ing neuroanatomical correlates of noun processing.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결과
IV. 고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