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Semantic Priming on Word-Finding Ability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윤경(Yoon Kyoung Lee) 김영태(Young Tae K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8권 제3호, 22~39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1.30

국문 초록
점화는 목표자극이 제시되기 전에 관련 자극을 미리 제시하는 것으로, 이름대기 또는 낱말찾기 연구에서 낱말의 구조화와 어휘접근(lexical access) 절차를 파악하는 주요 절차로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의미적 점화 효과를 중심으로 단순언어장애(SLI) 아동의 낱말찾기 문제를 어휘처리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언어연령이 4;6-6;6세 사이의 SLI 아동 15명과 생활연령 일치 일반아동 15명, 그리고 언어연령 일치 일반아동 15명, 총 45명으로 하였다. 이름대기 과제를 실험과제로 하였으며, 목표낱말 36개와 점화낱말 72개(의미적 점화낱말 36개, 무관련 점화낱말 36개), 총 108개의 낱말을 실험자료로 사용하였다. 결과는 오반응 빈도와 오류유형의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SLI 집단은 두 일반아동 집단과 마찬가지로 무관련 점화조건에 비해 의미적 점화조건에서 오반응률을 적게 산출하였으나 상대적으로 그 차이는 적었다. 점화조건에 따른 오류유형의 경우도 SLI 아동들은 두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점화조건 간에 기타 오류는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의미적 오류도 차이가 적어 의미적 점화에 의한 촉진효과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SLI의 낱말찾기 문제가 어휘처리과정 중 의미처리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Word finding deficit is one of the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word-finding abilities between children with SLI and normal children and to account for the word-finding problem in terms of lexical processing. Forty-fiv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5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4;6-6;6, 15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CA controls), and 15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composite index of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LA controls). Pictures-naming task was used in two conditions to account for the lexical processing of children with SLI. The presentation of the pictures was preceded by a semantic-related priming in one condition, and a non-related priming in the other condition. Frequency and type of errors in picture naming task were analysed. The principal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LI group, the CA controls, and the LA controls produced less errors with semantic-related priming than non-related priming. This means that word- finding is improved by the semantic priming. (2) Error type analysis showed that in the SLI group the number of semantic errors changed less with semantic-related priming than the CA controls and the LA controls. The CA controls and the LA controls produced many more semantic errors and fewer of other of errors with semantic-related priming than non-related prim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children with SLI have difficulty in lexical processing on the semantic level.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