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on the Reduction of Self-Injurious and Aggressive Behaviors of Students with Autism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원종례(Jong Rye Won)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7권 제3호, 252~272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업적인 과제수행요구를 피하기 위해, 또는 선호하는 물건이나 상황을 얻기 위하여 자해 및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는 자폐학생에게 의사소통행동을 증가시키고, 부적절한 자해 및 공격적 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를 적용해 봄으로써 의사소통행동 증가와 자해 및 공격적 행동 감소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가, 또 그 효과가 유지되는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H 정서장애특수학교 초등부 자폐학생 3명이며,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주 3회(14-24회기)에 30분씩 상황에 맞는 요구하기와 회피 및 거부하기의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를 실시한 결과 자폐학생의 의사소통행동이 증가되었고, 자해 및 공격적 행동이 감소되었으며 중재 종료 6주 후까지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으로 자폐아동이 학업적인 과제요구를 거부하거나 자신의 요구를 표현하는 기능적 의사소통행동이 수업상황에서 나타내는 자해 및 공격적 행동을 대체할 수 있는 하나의 바람직한 행동임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정서장애학교에서 자주 일어나는 문제행동의 중재를 위한 하나의 실제적인 교수방법을 제안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as an intervention for inappropriate self-injurious behaviors and aggressive behaviors of students with autism maintained by escaping from educational task achievement and by incorporating his preferences.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was designed to increase communication behaviors and to decrease self-injurious behaviors and aggressive behaviors. This program was conducted to identify its effects on the increase of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s and the reduction of frequency in self- injurious and aggressive behaviors and to test the maintenance of the results after the withdrawal of intervention. Three students with autism in H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emotional disturbance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using the multiple baselines across subjects for thirty minutes, three times a week. This function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included an escape and extinction component. This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decreased the frequency of self-injurious behaviors and aggressive behaviors through increasing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s and the results were maintained six weeks after the withdrawal of intervention. The study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inter- vention involved teaching an appropriate escape response and expressions of his demand to the students with autism to replace self-injurious behaviors and aggressive behaviors in classroom for students with emotional disturbance. This contributes to growing recognition that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is one of practical teaching methods as an intervention for problem behavi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