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lse Belief Understanding and Mother-Child Interaction in Hearing Impaire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민병란(Byung Ran Min)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9권 제2호, 129~15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7.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각장애아동의 틀린 믿음 이해와 어머니 아동 상호작용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4~8세 청각장애아동과 어머니 34쌍을 선정하여 아동의 틀린 믿음과제 성취수준과 아동이 연령수준에 따라 네 집단으로 구분하고, 이들 집단간에 상호작용시 어머니와 아동의 인과관계 및 심리상태 관련 말 수와 심리상태 관련 어휘 다양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 아동의 상호작용 행동, 어머니-아동의 상호작용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연령수준과 관계없이 틀린 믿음과제 우수집단의 어머니와 아동이 부족집단의 어머니와 아동에 비해 더 많은 인과관계 관련 말을 하였다. 둘째, 연령수준과 관계없이 틀린 믿음과제 우수집단의 어머니와 아동이 부족집단의 어머니와 아동에 비해 더 많고 더 다양한 심리상태 관련 말을 하였다. 셋째, 틀린 믿음과제 우수집단의 어머니가 부족집단의 어머니에 비해 속도의 적절성, 의사전달 방식의 적절성, 민감성, 유연성, 정교화 행동시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넷째, 연령수준에 관계없이 틀린 믿음과제 우수집단의 아동이 부족집단의 아동보다 솔선성, 순응성, 주의집중, 독립성, 안정감 행동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다섯째, 연령수준에 관계없이 틀린 믿음과제 우수집단의 어머니-아동이 부족집단의 어머니-아동 보다 상호성, 공동의 차례 지키기, 공동의 이해의 모든 어머니 아동 행동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처럼 본 연구 결과는 언어적 상호작용의 내용면에서 인과관계 및 심리상태와 관련한 어머니와 아동의 말 수는 틀린 믿음 이해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상호작용의 질적인 면에서 아동의 틀린 믿음 이해와 관련이 있는 구체적이 어머니 행동, 이동 행동, 어머니-아동 행동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