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sfluency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Bilingual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수복(Soo-bok Lee) 심현섭(Hyun Sub Sim) 신문자(Moon-Ja Shin)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2권 제2호, 296~316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4~6세 이중언어아동(14명)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영어 상황에서 총비유창성 빈도 및 유형별 빈도를 산출하여 단일언어아동 자료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만 4~6세의 총 28명(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 14명,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한국어 단일언어아동 14명)을 대상으로 하여 놀이상황 및 과제상황에서 총비유창성 빈도, 비유창성 유형을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총비유창성 평균빈도는 단일언어아동보다 이중언어아동에서 3배 이상 차이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정상적 비유창성 빈도 역시 이중언어아동집단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유형별로는 간투사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놀이상황보다 과제상황에서 비유창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중언어아동의 우세언어, 비우세언어에 따른 결과는 비우세언어에서 비유창성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우세언어에서도 비유창성이 정상 기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유창성 유형은 우세언어, 비우세언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정상적 비유창성인 간투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표현언어검사 점수가 높을수록 비유창성 빈도가 적게 나타났으며, 생활연령, 제2언어 노출 연령이 어릴수록 비유창성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중언어아동과 단일언어아동의 비유창성 특성을 구분짓는 질적, 양적 차이는 비유창성 유형에 따른 빈도에서 찾을 수 있었다. 비우세언어에서 관찰된 비유창성은, 언어능력이 비유창성에 영향을 주며 이중언어아동이 언어에 숙달된 정도가 비유창성에 중요한 요소임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isfluency between Korean-English bilingual and Korean monolingual children. Methods: Twenty-eight children (14 bilinguals, 14 monolinguals with the same chronological age[C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tasks consisted of play situation and task situation. Statistical methods of one-way ANOVA and repeated two-way ANOVA were adopted to test differences between the bilinguals and the monolinguals, and Mann-Whitney was adopted to test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dominant and the English-dominant bilinguals. Results: Firstly, the scores of total disfluency and normal disfluency of the bilingua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monolinguals. The most frequent type of disfluencies was interjection in both groups. All showed higher score in the task situation than the play situation. Secondly, the bilinguals showed more disfluencies in their non-dominant language. Thirdly, lower CA, younger exposure age to the second language, and lower scores of expressive language test had negative effects on the occurrence rate of disfluency. Discussion & Conclusion: Bilingual and monolingual children we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different each other in scores and types of disfluency. The disfluency observed in non-dominant language of the bilinguals indicates that language ability influences on their disfluencies and that language proficiency of bilingual is an important factor in dysfluent speech.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