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a Screening Test for Students At-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애화(Ae Hwa Kim) 신현기(Hyun Ki Shin) 이준석(Joonsuk Yi) 황민아(Mina Hwang) 한경근(Kyeong Gun Han) 박현(Hyun Park)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3권 제2호, 282~307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적 지원의 첫 단계는 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적절한 선별에서 시작된다. 하지만, 현재 학습장애 위험학생을 선별할 수 있는 검사도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장애 위험학생을 선별을 위한 표준화 검사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선별검사는 현재 학습장애 정의에서 합의된 사항 및 국내외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문항을 개발하여 관련 전문가와 현장 교사와의 수정․보완 과정을 거쳐 예비 선별검사를 완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본 선별검사는 읽기, 쓰기, 수학, 듣기, 말하기, 사고/추론의 6개 하위검사로 구성되었다. 결과: 표준화 검사는 총 1,26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특수집단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는 87명의 학습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본 선별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선별검사는 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선별을 위한 표준화된 검사로서 학교 현장에서 학습장애 위험학생을 선별하고 이들을 위한 교육적 지원을 마련하는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끝으로, 본 선별검사의 활용 시 유의점 및 본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The first step toward providing speci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LD) is to appropriately screen students at-risk for LD. However, there are a limited number of screening tests availabl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research-based, screening test for students at-risk for LD and to conduct a standardization study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test. Methods: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and existing test reviews with feedback from experts and teachers, six scales were developed: (a) reading, (b) writing, (c) mathematics, (d) listening, (e) speaking, and (f) thinking/reasoning. Each item describes specific behaviors associated with students with LD or at-risk for LD. The standardization sample for the screening test included 1264 students. Results: The results of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split-half reliability, and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demonstrated satisfactory reliability. Similarly, the results of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demonstrated satisfactory validity. Discussion & Conclusion: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value of the test as a credible screening test to inform educators' efforts to provide instructional support for students at-risk for LD. Instructional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educator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