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ge-Dependent Story Retelling Abilities in Preschooler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기순(Kisoon Kim) 신지철(Jicheol Shin) 이기학(Ki Hak Lee) 배소영(Soyeong Pa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2권 제1호,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아동의 이야기 회상 산출 능력을 살펴보았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4~6세 일반 아동 60명을 대상으로 이야기 회상 산출 능력을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검사 도구는 ‘그네 이야기’와 ‘공 이야기’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은 이야기문법 총점, 낱말로 본 평균절길이(MLC-w), 형태소로 본 평균절길이(MLC-m)를 산출하여 연령간 평균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결과 및 결론: 이야기문법 총점, 낱말로 본 평균절길이(MLC-w), 형태소로 본 평균절길이(MLC-m) 모두 연령에 따라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이야기문법과 평균절길이(MLC)로 학령전기 아동의 이야기 회상 능력이 양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야기 평가시 이야기문법과 평균절길이(MLC)로 분석하는 것이 이야기 발달을 보는데 적절하고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story retelling abilities of preschool children. Methods: The participants comprised 60 preschoolers aged 4 to 6 years. Two Korean stories written by Soyeong Pae, “The Swing Story” and “The Ball Story” were used. We showed the story cards to the children, told a story corresponding to the cards, and asked the children to retell the story after removing the cards. The total scores of story grammar, MLC-w(Mean Length of C-units by words), and MLC-m(Mean Length of C-units by morphemes) were compar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story retelling performance according to age. Results & Conclusion: The total scores for story grammar, MLC-w, and MLC-m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ge. The use of story grammar and MLC are considered effective measure of children’s story intelligibility.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목차
I. 서론
II. 연구대상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