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경상도 반닫이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108

영문명
A Study on the Formative Kyung Sang-Do Bandaji of Chosun -Focused on Kyung Sang Nam Do-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정복상(Chung, Bok-Sang)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5집 1권, 119~13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08.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ue to topographica l character that Korea has long peninsular from South to North, it has various trees, unique life style and cult ural emotion eac h and every region as wall as wooden furniture that has local character has been made. Among the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Bandaji (Chest) has definite character acco rding to region however, there is unprepared to study about it. Therefor e, th ere are seve ral purpose and meanin g of this study. First, r m goi ng to examine sc ientifica lly wha t Kyun gsang-do Bandaji has reg io na l char ac ter thr ou gh rese ar ch and compariso n with from, materi al, metal-decoration of it(Chungmu, jinju , Namhae , Milyoung, Kimhae, Youngsan areas in Kyung sang nam-do). Second, I'm going to emboss about the value of the Bandaji ' s tradional beauty and make to help design developing that it becomes to fix for contemporary life style and function. Third, r m going to make low cost and high quali ty of Bandaji' s product through the study of divided modern production method because it has been produced by Korean tradional handicraftsmen.

목차

Ⅰ. 서 론
II. 반닫이의 일반적 고잘
III. 경상도 반닫이의 특징
VI.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복상(Chung, Bok-Sang). (2002).조선후기 경상도 반닫이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5 (1), 119-139

MLA

정복상(Chung, Bok-Sang). "조선후기 경상도 반닫이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5.1(2002): 119-139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