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Social Initiation Training Using the Naturalistic Intervention on Social Interac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ith Their Peer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지영(Ji Young Kim) 이소현(So Hyun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8권 제3호, 253~27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1.30

국문 초록
장애유아 통합교육은 물리적인 환경 배치만으로는 기대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실질적인 사회적 통합의 촉진을 위하여 이를 위한 특정 중재를 실시해야 하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통합 환경에서의 교사들의 부가적인 노력에 의한 중재는 중재 실행에 대한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실행 가능성 측면에서 용이하고 그 효과가 인정되는 다양한 중재 방안의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통합 교실 환경에서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자연적 중재를 이용한 사회적 시작행동 교수가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명의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했으며, 우연교수(Incidental teaching), 요구모델(Mand-model), 시간-지연(Time-delay)의 세 가지 자연적 중재방법을 통합적으로 사용해 사회적 시작행동을 교수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3명의 장애유아 모두 사회적 시작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유지되었다. 또한 장애유아에게 제공한 자연적 중재의 부수적인 효과로 일반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도 증가하고 유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교육 현장 관련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 등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acquisition of peer-related social competence is a very important task for children in their early development. Most children learn the skills to interact with peers in preschool years. But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have difficulty in peer social interactions because of the lack of social skills. It has been noted that the lack of social initiation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might be one of the main reasons that obstructs their reciprocal interactions with peers. Therefore, the early intervention for initiating social interactions in the inclusive settings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intervention strategy for increasing peer social intera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initiation training using the naturalistic intervention for three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elay toward their peers in an inclusive classroom. This study used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maintenance effects were evaluated in the same setting as the baseline condition. Results from the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social initiation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oward peers without disabilities were increased after the application of naturalistic intervention for social initiative behavior. Second, social inter- 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elay were increased through the naturalistic intervention for social initiative behavior. Third, increased social initiation skills and social interactions of the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ere maintained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Implications for facilitating social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elay in the inclusive preschool environment were discussed.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