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exical Processing in Acquired Hangul Dyslexia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조경덕(Kyungduk Cho) 정재범(Jaebum jung) 남기춘(Kichun Na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7권 제3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뇌손상에 기인하는 한글 난독증의 어휘처리 양상을 분석하여 한글정보처리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피험자 YKW의 한글 어휘처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모, 1음절어, 2음절어, 3음절어의 읽기수행을 실시하였다. 또한 그림명명과 2음절 추상어의 쓰기수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모의 처리가 곤란하였으며, 불규칙단어보다는 규칙단어의 읽기수행이 우월하였다. 그림 이름 음성명명과 쓰기명명에서는 음성명명에서 반응오류를 보였던 자극 그림에 대하여 쓰기명명에서도 오류를 일으키는 일관성을 보였다. 읽기수행에 비하여 쓰기수행의 수행이 저조하였다. 또한 받아쓰기에서도 불규칙단어의 쓰기수행이 규칙단어의 쓰기수행보다 저조하였다. YKW의 한글 어휘처리에서 특히 주목되는 점은 단어의 음독은 비교적 수월하였지만 비단어의 음독은 수월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YKW의 한글 어휘처리는 철자열-음소 대응(grapheme-phoneme conversion)경로가 선택적으로 손상되어, 심성어휘집(mental lexicon)의 발음정보를 이용하는 직접경로에 의해서 읽기가 이루어진다고 판단된다. YKW의 사례는 영어 난독증의 사례 중 음운성 난독증(phonological dyslexia)과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결과는 한글 단어명명 시에도 이중경로가 사용된다는 입장을 지지한다.
영문 초록
In the present study, a case of the acquired Hangul dyslexia is repor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cognitive processing of Hangul word recognition. Reading aloud tasks were administered to examine YKW’s reading ability. YKW had difficulty in reading nonwords aloud more than reading real-words aloud. It suggests that YKW’s nonword reading aloud deficit results from damage at the level of the grapheme-phoneme conversion. YKW is assumed to have a problem in his ability to convert the orthographic information to the phonological information. YKW’s reading aloud was performed by the retrieval of the stored representation of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in the mental lexicon. These results support the dual route hypothesis in reading Korean words.
목차
Ⅰ. 서론
Ⅱ. 실험 1 : 단어명명 (word naming)
Ⅲ. 실험 2 : 그림 명명 ( picture naming)
Ⅳ. 실험 3 : 받아쓰기 (dictation)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