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ilitating Family Invovement in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소현(Sohyun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5권 제1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0.30

국문 초록
교육에 있어서 학교와 가정간의 연계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장애로 인하여 연계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가중될 수밖에 없는 장애아들의 경우에는 부모를 포함하는 가족들의 참여가 교육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할 수 있을 정도의 중요성을 지니게 된다. 최근에 들어서면서 생태학적 견해의 등장으로 인하여 부모나 기타 가족 구성원들이 아동의 주변 인물로서 양방적 영향력을 지닌 사람들로 재평가 되면서 특수교육에 있어서의 가족참여는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가족 참여의 형태가 바람직하게 이루어지고 그 효과가 아동의 교육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족들의 구체적인 참여를 지원하고 중재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들이 적용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 글에서는 장애아동의 가족들이 자녀의 교육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형태의 참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법론적 고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가족 참여를 위한 지원과 중재는 개별화 접근의 개념을 기초로 하는 가족 진단을 포함해야 하며, 그 외에도 가족의 필요 인식, 가족 참여 프로그램의 특성 인식, 가족- 교사간의 효율적인 관계 형성, 가족 강화 등의 네 가지 구체적인 방안들을 포함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각각의 방안들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론들이 모색되었으며, 결론적으로 이 모든 방법들이 단독적인 형태가 아닌 총체적이고도 동시적인 틀로서 적용되어야 함이 강조되었다.
영문 초록
Parent - teacher or family - school partner ship play s an important role in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partner ship can play a more critical role in their education. T hrough numerou s studies it has been concluded that family involvement in special education is very important . T o make family involvement to be more effective for their children s educational outcomes, appropriate support and intervention for families including parent s should be provided. In this paper , definition and rationale for the family involvement in special education are reviewed and several approaches including family a s ses sment , r ecognizing family needs , knowin g char act eristics of family inv olv ement program, formulating efficient family - teacher collaboration, and family empowerment , are suggested. Each approach is discussed in terms of sy stematic and practical methodolog - ical aspect s . In conclusion, it has been emphasized that all approaches suggested here should be implemented in a simultaneous and wholistic manner to maximize the effect of
family involvement for their children s beneficial educational outcomes .
목차
I.서 론
Ⅱ.바람직한 가족 참여를 위한 지원 및 중재 방안 고찰
Ⅲ.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