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the High School Students' Use of Earphone and the Evaluation of Their Hearing Level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최순희(Sunhee Choi) 고도흥(Doheung Ko) 이정학(Junghak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5권 제1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0.30

국문 초록
최근 청소년들이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장시간, 상당히 큰 소리로 듣고 있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우리 나라 고등학생의 청각보건에 관한 지식정도·태도·이어폰의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청력검사를 실시하여 우리 나라 청소년의 청각보건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조사방법으로는 설문조사와 이경검사, 팀파노그람, 기도순음청력검사, 선호음량수준조사를 실시하였다. 청력검사 결과, 청력역치는 정상범위 안에 있었고, 평균선호음량수준은 88.7 dB A 이었다. OSHA가 제시한 소음폭로기준을 초과하여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를 사용하고 있는 학생은 12.3 %이었다. 조사 결과, 청력역치가 이어폰의 과도한 사용과 무관한 것처럼 모두 정상범위 안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2.3 %에 달하는 학생들이 OSHA가 제시한 소음폭로기준을 초과하여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은 청각보건 교육이 절실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영문 초록
Listening to music through earphones or headphones with per sonal cassette player s (PCPs ) is , as a matter of fact , one of the prevalent activities for young ster s everywhere. However , the problem is that it can be responsible for hearing damage of the same nature as that caused by indu strial noise. Con sidering such situation, this study was focused on informing them about th e pos sibility of s er iou s dan ger s of list enin g to amplified mu sic. A total of 275 highschool student s were randomly selected. T he participant s underwent a pure tone audiometric and immittance (tympanometry ) test s. In addition , they were requested to choose a preferred volume levels which set in liquid screen on PCPs to find out the sound level preferred individually . 130 subject s (61.6%) exhibited normal criteria bilaterally from immittance. Pure tone averages of 130 subject s whose hearing levels existed within normal criteria indicated that 15.8 dB HL on left ear s and 14.7 dB HL on right ear s, respectively . Although the hearing thresholds of subject s exposed to amplified
mu sic were mostly within normal range, we should take ceaseless care of overu se of PCPs. Because they are still young and the hearing damage due to noise comes insidiou sly . Also, this type of hearing loss becomes obviou s only when sufficiently evolved, i.e, after several year s of exposure. 30 out of 275 subject s were over allowable exposure level according to OSHA guidelines . This can cause a public health problem and give us a reason to conduct the public education of hearing conserv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it would be advisable that warning signs of hearing damages should be specified on the surface of PCPs , cas sette tapes or compact discs as warning signs of cigarette and liquor . Education of hearing conservation should be also given in elementary and junior/ senior high schools. T hrough this way , the young ster s hearing health in the future could be protected against further hearing damages.
목차
Ⅰ.서 론
Ⅱ.연구방법
Ⅲ.연구결과
Ⅳ.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