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asures of Utterance Length of Normal and Language - Delaye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희정(Hee Jung Lee) 김영태(Young Tae K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4권,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4-6세의 언어발달지체 아동 15명, 언어발달지체 아동과 언어연령을 맞춘 정상 아동 15명, 그리고 언어발달지체 아동과 생활연령을 맞춘 정상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자발화를 분석하여, (1) 네 가지 발화길이 척도(MLUW , MLUM , MSLW , 그리고 MSLM )가 세 집단(언어발달지체 집단, 동일언어연령 집단, 그리고 동일생활연령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2) 각 발화 길이 척도 중에서 두 집단(언어발달지체 집단과 동일언어연령 집단, 언어발달지체 집단과 동일생활연령 집단) 간의 차이를 판별하는데 기여도가 높은 척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1) 네 가지 발화길이 척도들 모두 세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2) 언어발달지체 집단과 동일생활연령 집단간의 차이를 판별하는데 네 가지 발화길이 척도 모두가 유의미하였고, (3) 언어발달지체 집단과 동일언어연령 집단간의 차이를 잘 판별하는데 세 가지 발화길이 척도(MLUW , MLUM , MSLM )가 유의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four measures of utterance length (MLUM , MLUW , MSLM , and MSLW ) among the language- delayed group (LD), their CA-matched group (N- CA), and their LA-matched group (N-LA). Forty- five subject s, each group with 15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child' s spontaneous utterances were collected in free play settings. Each utterance was analyzed by the number of morphemes and the number of words. The following result s were obtained: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our measures of utterance length among three groups, (2) All four measures were found to discriminate the LD group and their CA-matched group. (3) Three measures (MLUW , MLUM , and MSLM ) were found to discriminate the LD group
and their LA-matched group.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IV.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