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Christopher K. Shon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7권 제1호, 234~255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3.30

국문 초록
인간의 장애에 관한 역사적, 의학적, 문화적, 그리고 사회정책적 관점의 차이는 장애에 대한 다양한 명칭과 분류를 초래한다. 한 국가의 장애인에 관한 정책과 교육의 차이도 국가의 장애에 관한 일반적인 관점에 따라 달라진다. 한 국가의 법과 그 시행령들은 그 국가의 국민 대부분이 가지고 있는 가치와 의견의 성문적 표방이다. 이 문헌연구는 미국과 영국의 장애아들에 한 정책과 교육을 비교하였다. 이 두 나라가 연구의 대상으로 선택된 이유는 두 나라가 공히 (가) 장애인에 관한 교육에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고, (나) 정책수립에 있어서 유대- 기독교적인 이념적 영향이 지대하며, (다) 민주적 의사 수렴과 결정의 역사가 깊고, (라) 제한된 인적, 물적 자원을 합리적으로 활용하여 교육에 접근하는 이유들로 인하여이다. 그러나, 두 나라간 장애인에 관한 정책과 교육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도 사실인 바, 두 나라에 있어서 특수교육의 정책적 발달 단계, 교육에 관한 주요 법안, 그리고 현장에서의 교육적 접근법의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Depending upon different views in defining human disability — historical, medical, cultur - al, and socio- political views — there have been various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s on disability. In addition, public policies and educational practic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re not identical among different countries. Government decisions are part of public manifestation of the intentions of the people in a country. In many cases, the written public policies , such as laws and regulations , represent the values and opinions of
the majority in a society. In this review of literature, the author compared the policies and practices of special education service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United States and in the United Kingdom. The reason that the author chose these two countries are: (a) their relatively long histories of interventions for the disabled; (b) the influence of Judeo- Christian ideology in disability policy ; (c) each country s relatively longer history of democratic government which has enabled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based on the
opinions of the majority; and (d) their pragmatic educational approaches in the use of limited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Yet, there seemed to have some differences in public policies and educational practi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historical developments of public policies on special education, educational practices,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ducation for the disabled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also
discussed in detail.
목차
Ⅰ. INTRODUCTION
Ⅱ. DISABILITY AND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Ⅲ. DISABILITY AND EDUCATION IN THE UNITED KINGDOM
Ⅳ. DISCUS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