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al Apraxia of Speech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박서린(Seo Lin Park) 김향희(Hyang Hee K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4권,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10.30

국문 초록
발달성 말실행증(DAS)은 그 존재 여부 자체가 의심되어 왔으나, 발달성 말실행증 이라는 용어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이 장애를 다른 언어장애와 감별 진단할 수 있는 준거를 찾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성 말실행증으로 의심되는 아동 K의 평가 및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달성 말실행증 아동에게서 나타난 특성은 ⑴ 조음능력평가시 회기내와 회기간에 오류패턴의 비일관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⑵ 음절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음소/ 음절의 배열순서에 어려움을 보였으며, ⑶ 느린 길항반복운동 속도가 관찰되었고, ⑷ 음소를 산출하려고 시도할 때 조음기관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으며, ⑸ 치료시 진전이 느린 점 등이었다. 이러한 특성들은 기능성 조음장애나 음운장애 아동에게서는 관찰되는 특성과는 차이를 보이는 것이므로 앞으로는 이러한 특성들을 고려하여 DAS를 감별진단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1) to investigate the definition s, characteristics, evaluation and treatment of developmental apraxia of speech (DAS )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2) to report a case study of evaluation and treatment of a child who was assumed to have DAS. The case study verified the following core characteristics of DAS shown in the current literature: (1) inconsistency of error patterns within and between
sessions , (2) sequencing difficulties when producing multisyllabic words, (3) slow diadochokinetic rates , (4) high frequency of groping/ silent posturing while producing phonemes, and (5) slow treatment progress. T hose attribute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functional articulation or phonological disorder s . Therefore,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fferential diagnosis of DAS from other speech disorder s on the basis of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 론
Ⅱ. 발달성 말실행증의 특징
Ⅲ. 발달성 말실행증의 병인 및 이론
Ⅳ. 발달성 말실행증의 평가 및 치료 접근법
Ⅴ. 사례 보고
Ⅵ.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