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Intervention on the Phonological Awareness and Production Ability in the Phonologically Disordere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황보명(Bomyung Hwang) 강수균(Sookyoon Kang)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7권 제2호, 135~15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7.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음에 대한 의식적인 자각이라고 할 수 있는 음운자각도를 높여주는 음운자각중재가 음운장애아동들의 음운자각도 및 정확한 음운산출능력을 신장시키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조음기관에 기질적인 이상 없이 음운장애를 보이는 5세 아동 3명이며, 본 연구에서의 음운자각중재는 동일 음절로 끝나는 단어 찾기 빙고게임, 초성에 동일 음소 확인하기, 어말 종성에 동일 음소 확인하기, 초성이 다른 어휘 판별하기, 음소 분절하기, 구어를 글자와 연결하기의 6가지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중재 결과 연구대상 3명 모두 유지 단계에서의 음운자각도 및 음운산출능력이 기초선 단계보다 30 % 가까이 개선되었으며, 그림자음검사 결과 자음정확도의 증가 및 음운변동패턴 출현율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음운장애아동들의 음운자각도를 높여줌으로써 그들의 음운산출능력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intervention on the phonological awareness and the phonological production accuracy. Three of 5- year - ol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tervention was consisted of 6 types of tasks: ending- syllable-matching bingo game, word initial segmentation and matching, word final segmentation and matching , word initial discrimination, phoneme
segmentation, and letter matching.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 s was used. T he result s were as follows : fir st , phonological awareness intervention was effective on improving phonological awareness for all subject s. Secondly, phonological awareness intervention was effective on improving the phonological production accuracy for all subjec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고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