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Script Activities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raining on Acquisition of Communication Functions fo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경양(Kyung-Yang Kim) 박은혜(EunHye Park)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6권 제2호, 331~35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스크립트활동을 구어사용에 제한을 받는 중도장애아동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AAC) 중재방법으로 사용하였을 때 중도장애아동들이 의사소통기능들(사물요구하기, 행위요구하기, 정보요구하기, 대답하기, 거부하기, 사회성기능)을 습득 및 일반화하고 유지하는지 살펴보고 더불어 중도장애아동이 사용하는 다양한 의사소통방식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도장애 세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로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단계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중도장애아동들은 여섯 가지 의사소통기능을 습득 및 유지, 일반화하였고 둘째, 각각의 여섯 가지 의사소통기능에 있어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셋째, 세 아동이 각각 사용한 의사소통방식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가 갖는 교육적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고 앞으로의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rely 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experience difficulties in communicative interaction because they have limited communication functions and opportun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cript activities which were a grocery shopping, a birthday party, and a making snack were used for AAC training. Six communication functions were observed: request objects, request actions, request information, protest, answer , and social function.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ddressed: ⑴
the acquisi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effect s of script activities for AAC training on the acquisition of six communication functions for 3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⑵ the differential acquisition effect of script activities for AAC training according to communication functions, ⑶ the variety of communication modes used during AAC training.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⑴ all 3 student s acquired six communication functions and acquired communication functions were generalized to other situations and they were shown to maintain the functions 3 weeks after the training, ⑵ there were a few differences in acquisition according to six communication functions, ⑶ Student s used various communication mod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