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sign study of floral design ceramic lamp for a comfortable living space -In especial, interior desk lamps-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강흥석(Kang, heung-seok)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6집 1권, 25~4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8.30
국문 초록
현대에 들어와서 조명의 역할은 어둠을 밝히는 단순한 1차 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실내공간 연출에 있어 매우 중요한요소로 발전되어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기업이나 가정등 생활 공간에서 차지하는 부분이 크며,이에 따른 인간에 미치는 영향도 실로 크다. 이러한 조명에 대해 역사적 배경에 따른 이론적 고찰을 살펴 보고 조명의 특성과 인간에 미치는 영향,생활 공간에서 차지하는 조명등의 미적 역할을 조사하여,기하학적 형태에서의 조형성에 우리나라 전통 꽃문 창살을 적용하여 시대성과 고유성에 의한 국가적 독창성을 나타낸 새로운 개념의 도자조명등을 개발하여 수출에 의한 한국적 이미지의 상승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최근 침체되어 있는 도자문화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Illumination was used for the purpose of lighting up darkness in primitive human life. In these days, it is used for decorati ng and is developed with diver se functions and designs. Illumination tak es up much indoor space of building and home and it has an influ en ce on human life. In this paper, there are course of development with hist orical background of illumination, and quality of illumination and how it has an effect on human as well as the es thetic role of lamp that occupies human living space. Applying the traditional designs used on ceramic lamps will promote the excellence of tr aditional Korean culture and products, thus boos ting exports to international mark et s and the nation' s intern ational image.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