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Computer Textile Pattern design Development with Digital Textile Printing -Focusing on Development of Design for Customized Cultural Fabric Goods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박서린(Park, Suh Rin)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8집 2권, 129~14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0
국문 초록
한국 문화 산업의 중요성 이 부각되고 있지만 외국인의 한국 문화의 인지도는 매우 낮은 수준이며 , 현재 한국의 문화 컨텐츠 관련 산업의 수준도 낮은 편이다. 온라인상의 한국의 문화상품은 대부분 전통적인 문화상품에 국한되어 있고, 다양성이 부족한 상황으로, 외국인들에게 정확한 한국 문화를 인지시키기 어렵다. 철저한 고증을 통한 전통 문화상품의 개발과 현재 한국문화를 보여줄 수 있는 수준 높은 문화상품이 요구되며 문화상품 개발의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최근 개인주의적 성향과 소비의 고급화 경향이 강해지고 있고 개인의 취향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맞춤형 상품의 성공적 사례가 늘 어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본 연구는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을 활용한 경험 디자인과 취향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고있다. 경험 디자인은 소비자의 경험과 디자인 경험 과정을 통한 디자인 전개방식이며, 소비자의 직접적인 참여가 요구되어 진다 취향 디자인은 디자이너가 철저하게 소비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소비자에게 취향에 맞는 디자인을 컨설팅 해주는 디자인 방식이다. 이 두 방식을 통해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섬유 문화상품의 개발 방향을 마련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mid the growing importance of the cultural industry, the recognition of Korean culture among foreigners remains at a low level and so does the cultural contents- related business in Korea. As most cultural goods available online are limited to traditional products and they still lack diversity, foreigners hardly appreciate the values of Korean culture. In this situation, Korea needs to develop traditional goods based on in-depth historical studies and high- quality products that can reflect modem Korean culture. For this purpose, we need to explore diverse approaches. As the individualistic and high- quality preference of contemporary consumers has been getting stronger,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successful cases of custom- ordered products that can effectively match the demands of individuals. To keep up with changing time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future of expenence design and taste design using digital textile printing. Experience design
prominently features that it is based on each consumer's experience and consumers are directly involved in the process of making designs. Taste Design is that a designer completely analyzes each consumer's taste and produce designs accordingly. Through these two approaches, the study intends to lay the foundation of the development of fabric cultural goods that can meet the changing consumer demand.
목차
I . 서 론
II.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Digital Textile Printing)의 이론적 배경
III. 섬유 문화 상품과 디자인
IV.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Dital Textile Printing) 을 이용한 컴퓨터텍스타일 디자인
V .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