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Framework and Contents of Practical Arts of Basic Curriculum and of Practical Arts of the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철(Lee, Young-Chul) 신은희(Shin, Eun-Hui)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5권 제1호, 61~8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08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기본 교육과정 실과와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실과 교과의 구성 체제 및 교육내용의 연계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1종 교과서인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실과 교과서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Ⅳ에 수록된 교과 중 실과에 관한 내용이다.본 연구는 기본 교육과정 실과 교과서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Ⅳ의 실과 교과에 대한 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먼저, 교육과정별로 목표와 구성 체제를 정리하였고, 양정혜(2004)가 제시한 연계성 분석 기준을사용하여 두 교육과정별 실과 교과 교육내용에 대한 연계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두 교육과정 모두 각각의 영역별 목표들이 병렬적 구성의 도표형식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내용면에서 볼 때 초등학교 실과 교과의 목표가 기본 교육과정 실과 교과의 목표보다 좀 더 포괄적이고 심화되어 있었다. 둘째, 두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를 살펴보면, 모두 1종 교과서로 되어 있었으나 기본 교육과정 실과는 5, 6학년의 구별 없이 ‘나의 가족과 진로’, ‘가정생활’, ‘기술의 세계’ 영역에 관한 총 11개단원의 내용이 한 권으로 구성되어 있고, 초등학교 실과 교과는 5, 6학년으로 나눠져 ‘가정생활’과 ‘기술의 세계’에 관한 2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셋째, 두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교육내용은 많은 요소에서 발전적 연계가 이루어져 있었으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분 발전과 부분 격차를 나타내는 요소들도 많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relation of the framework and contents of practical arts of basiccurriculum in the 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special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and of practical arts of the elementary school.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contents about practical arts textbook of special school basic curriculum and about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terpretation Ⅳ.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ims of each area of two books are alike, but when looking at the contents, the aims of the one are more progressively described than those of the other. Second, the frameworks of two text books all are contained in each one book. But the one consists of the total 11 units, the other is divided into the fifth and sixth graders and comprises two parts(‘Family Life’, ‘World of technology’). Third, The contents of two books have progressive relations in many aspects. But if we look at them carefully, we find that there are many factors showing partial progress and partial differe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의 방법
Ⅲ. 기본 교육과정 실과와 초등학교 실과 교과의 연계성 분석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