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pelling Skills of Students with or without Spelling Difficulties in Korea: Focusing on Spelling Accuracy and Error Pattern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애화(Kim, Ae Hwa) 최한나(Choi, Han Na) 김주현(Kim, Ju-Hyun)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5권 제1호, 203~22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철자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의 철자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1학년에서 6학년까지 초등학교 1,294명 중에서 철자 성취에 따라 상위 10%, 중간 10%, 하위 10%의 고성취 110명, 중간성취 113명, 저 성취 131명을 선별하여 총 354명의 규칙 단어 및 음운변동별 철자 특성과 철자 과정에서 산출된 오류 유형을비교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규칙 단어 및 음운변동 단어 유형별 집단간 비교에서 고성취 집단이 중간성취 집단보다, 중간성취 집단이 저성취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성취를 보였다. 둘째, 규칙 단어 및 음운변동 단어 유형별 철자 정확도 비교 결과, 모든 집단 학생들이 음운변동 유형 중 구개음화에서 다른 유형에 비해 낮은 성취를 보였다. 저성취 집단의 경우 규칙 단어보다 음운변동단어에서 더 낮은 성취를 보였고, 음운변동 유형 중에서는 구개음화, 설측음화, 겹받침에서 다른 유형보다 더낮은 성취를 보였다. 셋째, 고성취, 중간성취, 저성취 집단의 철자 과정에서 산출된 오류를 분석한 결과, 세 집단 모두에서 표기처리 오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음운처리 오류, 형태처리 오류, 음운 또는 표기처리 오류의순이었다. 넷째, 각 집단의 오류 패턴을 세부적으로 살펴본 결과 음운처리 오류와 표기처리 오류에서는 세 집단이 동일한 패턴을 보였고, 형태처리 오류에서는 저성취 집단이 고성취, 중간성취 집단과 상이한 패턴을 보였다.다섯째, 각 집단별로 오류율이 높은 30개씩의 단어를 살펴본 결과, 음운변동 단어, 어휘난이도, 겹받침, 동음이의어가 높은 오류율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철자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의
한글 철자 특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spelling accuracy and errors pattern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spelling difficult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students without spelling difficulty. A total of 354(110 high-achieving students, 113
average-achieving students 131 low-achieving students)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in a spelling test that
included both regular words and phonological changed words. Major results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spelling accuracy of thre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score and each sub-score(regular word, types of phonological change word). Second, the low-achieving group had more difficulties in spelling
phonological changed words than regular words. Also, their spelling accuracy was much lower in palatalization,
lateralization, and double final consonants. Third, in regard to the rates of spelling errors, the orthographic
processing errors were highest, followed by the phonological processing errors, and morphological processing errors in all groups. Fourth, secondary analyses revealed different patterns between the low-achieving group and
normally achieving groups in the morphological processing. Fifth, spelling errors mostly found in phonological
changed words, high-level vocabulary, double final consonants, and homonym. Based on such results,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spelling difficult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