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eatment Effects of Voice Therapy for Hypernasality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최은아(Eunah Choi) 윤미선(Mi Sun Yoon) 성철재(Cheol-jae Seong)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4권 제3호, 380~392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인공와우이식(cochlear implant: CI, 이하 CI) 아동의 비성도(nasalance)를 평가하고 과대비성을 보이는 CI 아동에게 음성치료를 실시하여 비성도의 개선효과를 보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대전, 충청권에 사는 5세 이후에 인공와우 이식을 받은 청각장애(CI) 아동 10명과 정상청력(normal hearing: NH, 이하 NH) 아동 10명으로,각 아동에 대해 Dr. Speech의 NasalView (Tiger Electronics Inc. Seattle, USA)로 /아,어, 오, 우, 으, 애, 이/의 모음 별 비성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CI 아동에 대해 복식호흡,연구개거상훈련과 함께 촉지각적 방법, 초점을 비강에서 구강으로 옮기기 등을 내용으로 한음성치료를 주 2회 8주간 실시하였다. 음성치료 후 CI 아동의 음성치료 전, 음성치료 4주 후,8주 후에 비성도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일요인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살펴보았으며 Scheffé로사후분석을 하였다. 결과: 첫째, CI 아동의 경우 /아, 어, 오, 우, 으, 애, 이/ 모든 모음의 비성도가 NH 아동의 비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났으며 CI 아동과 NH 아동 모두 /이/> /애/ > /으/로 고모음의 비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5). 둘째, 음성치료 4주 후모든 모음의 비성도 평균이 35 % 미만으로 NH 아동의 평균 비성도 수준으로 낮아졌으며
훈련 전과 훈련 4주 후, 훈련 8주 후의 비성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논의 및 결론: 인공와우 이식 후 청각적 피드백이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공와우 이식연령이 늦었기 때문에 이식 후 2년 이상 지났어도 CI 아동의 비성도는 NH 아동의 비성도와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인공와우 이식 전 이미 음성에 변화가 생긴 아동의 경우, 이식 후 과대비성과 같은 공명에 대한 음성치료가 요구되며8주 간의 음성치료 결과, 모음에 대한 과대비성은 분절음의 조음이나 음도에 관한 문제보다 짧은 시간 내에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CI) comparing that of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voice therapy on improving the hypernasality observed in CI children . Methods: The nasalance scores of 7 Korean vowels (/a, ʌ, o, u, ɯ, i, ɛ/) pronounced by 10children with CI (G1) and 10 children with NH (G2) matching sex and chronological age were measured by Dr. Speech. Voice therapy was performed 2 times a week and 40 minutes a session during 8 weeks. Their nasalance scores were measured 3 times (before and after 4 and
8 weeks of the training). Results: Results of nasalance value of children with CI were as follows: means of nasalance scores of G1 (CI)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2 (NH) in all 7 vowels (p < .05). Means of high vow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low vowels in both groups (p < .05). The result of voice therapy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asalance scores in all 7 vowels (p < .05). Discussion & Conclusion: Participants in thisstudy were implanted over the age 5 and have used the device more than 2 years. Although they have improved auditory feedback through CI, their voice were evaluated as being hypernasal. After voice therapy, nasalance scores were decreased to the range of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