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erbal Analogical Reasoning Skills in Poor Comprehender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정미란(Miran Jeong)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4권 제3호, 275~28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읽기이해 부진(poor comprehension)이란 음독 능력은 또래에 비해 지체되지않으나 언어이해력은 지체되는 읽기장애의 한 유형을 말한다. 읽기이해 부진학생의 어휘 처리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단어 유추 검사를 실시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부진학생 40명과 일반학생 40명을 대상으로 ‘범주, 기능, 순서, 유의어, 반의어’ 유형 각 10개문항, 총 50 문항의 단어 유추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집단(2), 학년(2), 유추 유형(5)에 따른수행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읽기이해 부진학생은 일반학생보다 유의하게 낮은 단어유추 수행력을 보였으며 두 집단 모두 학년의 증가에 따른 단어 유추 수행력이 증가하였으며,각 유추 유형 별 수행력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집단 × 학년 × 유추 유형의 3원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것은 두 집단의 학생이 학년의 변화에 따라 유추 유형별 수행력의 변화 양상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학생들은 ‘기능’을 제외한 모든 유추유형에서 학년 간 차이가 유의하였으나, 읽기이해 부진학생은 순서, 기능, 반의어 유형에서만학년의 증가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읽기이해 부진학생이 단어 유추수행에서 보인 결과를 통하여 그들의 어휘발달 특성과 그에 따른 읽기 이해의 어려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verbal analogical reasoning skills of poor comprehenders. Relative to their peers, these poor comprehenders had word decoding skills within the normal range with delaye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Methods: Eighty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rades 3~6 participated in this study. Among them, 40 were poor comprehenders and 40 were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All
participants were tested using a verbal analogy task containing five types of verbal analogies: synonyms, antonyms, linear order, category, and functional relationships. For each analogy type, ten items were generated; the total number of items was 50. To assess the developing changes in verbal analogy skills,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age: third and fourth graders in the younger group and fifth and sixth graders in the older group. We conducted a three-way analysis of variance of participant group (2) × grade (2) × analogy type(5), where the analogy type was a repeated measure. Results: Significant main effects were found for group, age and analogy type. The three-way interaction among group, grade and analogy typ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ormal children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ade groups in all analogy types except for functional relationships, whereas the poor comprehend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ade groups in antonyms, linear order and functional relationships. Discussion & Conclusion: The poor comprehenders’ performances on the analogical reasoning task were interpreted in terms of their vocabulary skills.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were also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