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최진태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6권 제2호, 91~10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국문 초록
한국정부는 유엔안보리의 결의와 아프간 정부의 요청에 따라 아프간에 대한 재건 및 복구지원을 위해 한국군을 아프간에 재파병하기로 결정했다. 현재 아프간은 탈레반의 정치·군사적 장악력이 급속도로 확대된 반면, 미군과 나토군을 비롯한 아프간 정부군의 입지는 점차 좁아져 군사적 열세가 심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는2009년 12월에 3만 여명 수준의 아프간 병력 증파를 결정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프간에서 활동할 PRT 팀과보호 병력은 무장 갈등에 휘말릴 개연성이 높은 실정이며, 테러로 인한 PRT 요원들과 군 병력의 안전도 위험에직면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군의 재파병이 이루어지고 활동이 개시되고 나면 최대의 위협은IED가 될 가능성은 높다. IED는 이라크에서 미군에게 많은 피해를 주고 있으며, 2007년 이후엔 아프간에서도IED 공격이 급증하고 있다. 아프간 재파병을 목전에 둔 시점에서 IED에 대한 우리 군의 대응능력에 대한 철저한분석과 준비가 필요한 이유이다. 단기적으로는 IED 대응원칙 수립, IED 위협 평가 및 대응 계획수립, IED 대응에대한 실질적 교육 및 훈련 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첨단 장비의 신속한 도입을 통해 파병 이전에 대 IED 장비의 완벽한 전력화도 달성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대(對) IED 정보 능력 강화, IED 대응에 필요한종합적인 대응기구를 신설하고, IED 교리도 체계적으로 정립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IED의 본질: 정의, 구성 및 유형
III. 아프간의 IED 테러현황과 위협분석
IV. IED 테러 대응방안
V.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