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미동 산동네의 형성과 문화변화

이용수 870

영문명
The Formation and Cultural Change of Ah-mi Dong Mountain Town Community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차철욱(Chulwook Cha) 공윤경(yoonkyung Kong) 차윤정(Yunjung Cha)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22권 제1호,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4.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미동 산동네의 형성과정을 통해 공간과 문화의 변화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곳은 일본인 공동묘지와 화장장이 있던 곳으로, 산(生)사람의 삶터가 아니라 죽은 자의 공간이었다. 하지만 한국전쟁으로 삶터를 잃은 피난민이나 철거와 화재 등으로 쫓겨 온 이주민들이 죽은 자의 공간으로 모여들어 아미동 산동네를 만들었다. 산복도로보다 높은 해발 100m 이상의 고지대에 위치한 아미동은 천막에서 시작하여 현재 판잣집, 슬레이트집, 조적조(양옥) 주택까지 다양한 주거형태가 공존하고 있다. 가파른 경사지에 주택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열악한 주거환경을 보이고 있다. 문화적 변화를 언어를 중심으로 살핀 결과, 출신지의 언어적 특성은 흔적으로만 남아 있고 대부분의 언어는 부산 지역어로 동화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동화 현상의 원인은 역사.사회.문화적으로 소외되어 공동묘지로 이주할 수밖에 없었던 이주민의 삶과 소통을 단절시킬 수밖에 없었던 공간적 특징, 그리고 서로를 소외시켰던 이주민들 간의 의식 등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nsider changing of space and culture through a formation of Ah-mi dong mountain town community. Where it was a Japanese cemetery and crematory, not only living space for alive people but also death space for dead people. However, the people, evacuees by Korean war and immigrants by demolitions and fires and so on, had come to space of death people and have built UP Ah-mi dong mountain town community. In Ah-mi dong, where it lies in hill side various housing modalities coexist from tents and Plank houses to slate-roofed houses and Masonry houses. As the housing in this area close roof by roof in steep incline, therefore residential environment is inferior. As a result of analysing cultural changes centered on language, linguistic characteristics by one’s native places remain only traces, while most languages assimilate with Pusan area language. The reason the assimilation happen seems like lives of settlers who did not have any other choices, shunned from other socio-culturally and historically, spatial features that could not help shunning with communication from outside and awareness between settlers who were shunned each other.

목차

1. 머리말
2. 아미동 산동네의 공간적 특징
3. 빈민마을의 형성: 공동묘지에서 마을로
4. 주거공간과 주민들
5. 문화적 변화와 의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철욱(Chulwook Cha),공윤경(yoonkyung Kong),차윤정(Yunjung Cha). (2010).아미동 산동네의 형성과 문화변화. 문화역사지리, 22 (1), 1-18

MLA

차철욱(Chulwook Cha),공윤경(yoonkyung Kong),차윤정(Yunjung Cha). "아미동 산동네의 형성과 문화변화." 문화역사지리, 22.1(2010): 1-1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