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among Cheong to Brand and Components of Brand Equity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김성규(Seong-Gyu Kim) 이희욱(Hui-Uk Yi)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 第25卷 第2號, 197~22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5.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브랜드자산 구성요인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 브랜드에 대한 정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브랜드자산 구성요인들을 효과계층모형에 따라 인지적, 태도적, 행동적 단계로 구분하였다. 즉 브랜드 연상, 브랜드 인식, 지각된 품질을 인지적 차원으로, 브랜드 정은 태도적 차원, 태도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는 행동적 차원으로 규정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브랜드 연상과 지각된 품질이 높아질수록 브랜드 정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브랜드 인식은 브랜드 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브랜드 정과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에 있어서는 브랜드 정이 태도적 충성도, 행동적 충성도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브랜드에 대한 정이라는 감정적인 차원이 브랜드자산의 형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Cheong to brand and components of brand equity. In path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brand association, brand awareness, perceived quality and mediate variable is Cheong to brand, dependent variables are attitudinal loyalty, behavioral loyalt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Brand awareness and perceived quality are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Cheong to brand and Cheong to brand is positively related with attitudinal loyalty, behavioral loyal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Ⅳ.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Ⅴ. 실증분석
Ⅵ.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