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Governance Characteristics of Family Firms on Firm Value and Performance: Evidence from Korea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박세열(Sae Yeul Park) 신현한(Hyun-Han Shin) 박경진(Kyung Jin Park)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 第25卷 第2號, 163~19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기업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족 기업의 지배구조적 특성과 기업 가치 및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가족 기업을 “창업자 혹은 그의 가족 구성원이 기업의 상법상 최대주주로 등록되어 있으며, 동시에 이사회 혹은 경영진에 소속되어 있는 기업”으로 정의하여 분석한 결과, 국내 가족 기업은 비가족 기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경영 성과를 보였으나 기업 가치는 낮았다. 가족 기업의 영향력을 기업지배구조의 측면에서 소유, 지배, 그리고 경영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을 때, 가족 기업에서는 소유구조 상 발생 가능한 대리인 문제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에 의한 지배 및 경영의 효과는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기업 중 대기업은 전문경영인 CEO의 고용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있었고, 반면 중소규모 가족기업은 이론이 제시하는 방향과 마찬가지로 가족 CEO에 의해 경영되고 있을 때 긍정적인 효과를 얻고 있었다. 또한 가족 기업의 승계는, 해외 연구와 마찬가지로, 가족 기업의 가치 및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Using a dataset from Korean firms,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family business with firm value and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define a family firm as a firm that was founded by a family, whose main shareholder is the family member, or the CEO or at least a member of the board of directors is the family
member. Following such definition, our results show that family firms in Korea perform relatively better but have lower firm value. Examining the effect of family firms on firm value and performance, from three different points of view of corporate governance: ownership, control, and management, we find that agency problems driven from ownership structure are mitigated in family firms. The effect of family control and the effect of family management are proven efficacious. While large-sized family firms enhance firm value by hiring non-family CEOs, mid- or small-sized family firms show superior value or performance when they are run by family CEOs, just as the theories indicate. In addition, we find that succession in family firms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firm value or performance, a result which is consistent with foreign studies.
목차
I. 서 론
II.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배경
III. 가설 설정
IV. 표본과 변수
V. 실증 분석
VI.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