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rand Typicality of Header on Evaluation of Brand Alliance Strategy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전기흥(Jeon, Ki-Heung)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28권 제1호, 103~11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분 브랜드 이용하여 브랜드 제휴 전략을 수행할 때, 브랜드 제휴의 평가에 미치는 조절변수로서 성분 브랜드 전략의 유형과 주 브랜드의 순서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성분 브랜드 전략의 유형은 자사지향형 성분 브랜드 전략과 공동지향형 성분 브랜드 전략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의 독립변수에 의한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브랜드 제휴 전략의 평가에서 자사지향형 성분 브랜드 전략과 공동지향형 성분 브랜드 전략의 영향은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성분 브랜드 전략의 주 브랜드의 순서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성분 브랜드 전략의 유형과 주 브랜드 순서 간의 2원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시 말하면 자사지향형 성분 브랜드 전략에서는 성분 브랜드 전략을 수행하는 주 브랜드의 뒤에 성분 브랜드가 위치하는 것이 브랜드 제휴의 평가에 더욱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공동지향형 성분 브랜드 전략에서는 주 브랜드의 앞에 성분 브랜드가 위치하는 것이 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영문 초록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type of brand alliance and brand typicality of header on evaluation of brand alliance. This research splits brand alliance(co-branding strategy vs. ingredient branding strategy). The empirical research outcome: the main effect of type of brand alliance on evaluation of brand alliance was not significant. But main effect of brand typicality of header was significant. The interaction effect(type of brand alliance × brand typicality of header)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In the condition of low brand typicality of header, consumers evaluated more positively on brand alliance in condition
of co-brand strategy rather than ingredient brand strategy. But In the condition of high brand typicality of header, was not different(co-branding strategy vs. ingredient branding strategy) .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설정
III. 실 험
IV. 결과분석
V.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