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Modeling for Measuring the Reliability of Curriculum-Based Measurement in Line with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홍성두(Hong, Sung doo) 여승수(Yeo, Seungsoo) 김동일(Kim, Dong-il)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4권 제4호, 427~44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국문 초록
학습장애 판별에 있어서 중재반응모형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교육과정중심측정 (Curriculum-based Measurement: CBM) 절차를 활용한 검사의 측정학적 측면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다양한 측정학적 측면 중 검사도구의 진전도 신뢰도 문제는 중재반응모형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 반드시 해결해야할 과제임에 틀림없다. 그런데 전통적인 신뢰도 이론으로는 중재반응모형 관련 자료들이 필연적으로 가질 수밖에 없는 종단자료의 진전도 신뢰도를 산출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한국형 CBM인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의 진전도 신뢰도를 산출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신뢰도 추정방법들의 문제점과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진전도 신뢰도 산출방법에 대하여 개관하고,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진전도 신뢰도를 산출
한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습장애연구 분야에서 잠재성장모형과 BASA의 진전도 신뢰도 산출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 alternative method for assessing the reliability of
Korean CBM within an RTI model. Latent Growth Model(LGM) as a new way was used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Korean CBM.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liability from LGM had unique advantages; First, the use of
LGM allows us to calculate individual reliability for each time point, Second, it allows for assessing the reliability of Korean CBM with growth rate estiamtes such as slope and intercept, Third, by using LGM we are able to evaluate the quality of passages used in CBM.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on this study are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교육과정중심측정의 진전도 신뢰도와 잠재성장모형
Ⅲ.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BASA의 진전도 신뢰도 산출 적용 사례
Ⅳ. 교육과정줌심측정의 진전도 신뢰도 산출을 위한 잠재성장모형의 활용가능성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