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허갑수(Heo, Kap Soo)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17권 제1호, 329~33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국문 초록
직장 영성은(WS : Work Spirituality) 완전성과 기쁨을 수반하는 작업장 활동을 통해 근로자가 체험하는 초월적 경험으로 정의된다. 영성적 리더쉽은 사명감과 소속감을 동기부여함으로서 근로자들의 영감을 고취시키는 리더의 능력을 뜻한다. 이 두 개념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본 연구에서는 두 선행 연구를 분석하기로 한다. 첫 번째, Reave의 연구는 영성적 가치와 리더십 효과 간의 관계에 대한 문헌적 증거를 제시한다. 그녀의 연구가 효과적인 리더의 특성을 밝히는데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환경적 맥락을 구체화시키고 리더-추종자 간 적합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두 번째,Duchon과 Plowman은 직장 영성과 수행성과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그에 따른 리더의 역할을 추론했다. 샘플의 수가 적고 편향되어 있다는 제한점에도 불구하고,이 연구는 직장 영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의 가능성을 제안해준다. 선행연구들은 직장 영성에 대한 체계적 이론의 개발과 다양한 산업군에 대해 이론을 적용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Workplace spirituality is defined as employees' transcendental experiences through workplace
activities which lead to completeness and joy. Based on this definition, spiritual leadership indicates
a leader's ability of insiring and motivating other organization members through "calling" and
"membership". In order to identify relations of these concepts, two selected articles were critiqued
First, Reave's research provided literary evid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values and
leadership effectiveness. While her research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leader,
subsequent research is needed to concretize environmental contexts and consider leader-follower fit.
Second, Duchon & Plowman(2005)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unit spirituality and work
unit performance and made inferences about the role of leaders. Though the sample is so small and
the composition of sample is somewhat biased, this research presented the potential of empirical study
about workplace spiritualit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view of Literature
Ⅲ. Critique
Ⅳ. Discussion
Reference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