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urrent Language Situation of Burgenland Croatian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저자명
- 권혁재(Kwon, Hyok-Jae)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동유럽연구 제17권,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0.30

국문 초록
부르겐란트(Burgenland)는 오스트리아 동부에 위치한 9번째 주
(州)로 면적은 3,966㎢, 인구는 27만 8600명(2001년 기준)인 지역이
다. 단일 민족국가인 오스트리아에서 유일하게 대규모 소수민족들이
거주하고 있는 주이다. 역사적으로는 제1차 세계대전까지 헝가리에 속
해 있다가 1921년 오스트리아에 편입된 땅이다. 500년 전 크로아티아
인은 오스만 터키의 침략을 피해 부르겐란트 지역으로 이주해 왔으며
이곳에서 소수민족으로 자신들의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이주 지역에 따라 4개의 방언군(群)으로 분류되는 부르겐란트 크로
아티아어는 본토 크로아티아어와는 독립된 어문전통과 표준화 역사를
가지고 있다. 현대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는 차방언(čakavski)을 기
반으로 하고 있고 주변 언어인 독일어과 헝가리어의 영향으로 신슈토
방언(novoštokavski)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현대 크로아티아어와는
많은 언어적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토와 떨어진 ‘언어 섬(language
island)’을 탈피하기위해 지속적으로 본토 크로아티아 표준어를 도입
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내부적인 갈등으로 두 언어의 차이는 쉽게 좁
혀지지 않았다. 최근 들어 현대 크로아티아어 정서법과 문법을 기반으
로한 사전과 문법이 간행되며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는 새로운 언어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take a approach on the current language situation of
Burgenland Croatian. The Croats of the former Western Hungarian lands
originate mostly from the 16th century. Their present number is
approximately 20000 in Austria, and even smaller in Hungary and Slovakia.
The Croats in Austria are bi-lingual, Croatian and German. Their literary
language is a Čakavian, ikavian-ekavian variety of Croatian, which has been
written since the 17th century. Efforts to standardize the language have
resulted in dictionaries and a grammar recently. Language contacts between
Burgenland Croatian on the one hand, and Standard Croatian, German, and
Hungarian on the other are described. Language policy is not very much in
favour of the Croats. Nevertheless have they achieved better presence in
the mass media during the last years. The linguistic usage of bi-lingual
individuals differs according to age, sex, and profession. Bi-lingual
instruction is conducted in a small number of schools only. But there is for
the future protection of the Burgeland Croatian is much positive factors
more than contradictory factors. Therefore a careful optimism is
appropriate in the Burgenland for the continued existence of the
minority-languages.
목차
<국문 개요>
I. 들어가는 말
Ⅱ.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
Ⅲ.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어의 현 상황
Ⅳ. 맺는말
참 고 문 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