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Tea (Camellia sinensis [L] O. Kuntze) Leaves Collected from the Vicinity of Temples in Korea, China and Japan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제순자(Soon-Ja Je) 이용호(Yong-Ho Lee) 오주성(Ju-Sung Oh) 황필성(Pil-Seong Hwang) 석운영(Woon-Young Seok)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15권 제2호, 73~7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8.30

국문 초록
한(韓)․중(中)․일(日) 지역에서 수집된 차나무잎의 형태적 특성과 형질 상호간 유전적 상관 계수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지별 차나무 잎의 형태별 특성을 조사한 결과 엽장, 엽면적 및 엽병장은 한국의 구례지역 수집계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엽폭, 생엽중 및 건엽중은 한국의 강진지역 수집계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중국의 무이산지역 대홍포는 엽장, 엽폭, 엽면적 및 엽병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국가별로 차나무 잎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대체적으로 한국의 차나무 잎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일본의 차나무 잎이 중간정도로 나타났으며, 중국의 차나무 잎이 작게 나타났다. 3. 각 형질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엽장과 건엽중(0.6694**)간에서, 엽폭과 건엽중(0.7393**)간에서, 엽면적과 건엽중(0.7191**)간에서, 생엽중과 건엽중(0.9388**)간에서 각각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고, 건엽중과 함께 수량형질인 생엽중의 경우에도 엽장과 생엽중(0.7642)간에, 엽폭과 생엽중(0.8411)간에, 엽면적과 생엽중(0.8146)간에 각
각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ea leaves by its growing areas
and countries. We collected tea leaves from 7 areas in Korea and overseas. We investigated classific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alyzing phenotypic, and genotypic correlations coefficient of the tea
leaves. In classific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tea leaves from Gurye had the highest values
in leaf length, size, and stalk length, while the tea leaves from Gangjin had the highest values in leaf
width, fresh leaf weight, and dry leaf weight. In case of Wuishan, China, it showed the lowest values
in leaf length, width, size, and stalk length. The tea leaves from Korea had the largest size, whereas the
tea leaves from China had the smallest one. In term of character correlation,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showed in several aspects respectively: between leaf length and dry leaf weight (0.6694**), between leaf
width and dry leaf weight (0.7393**), between leaf area and dry leaf weight (0.7191**), also between
fresh leaf weight and dry leaf weight (0.9388**). In case of leaf weight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
fresh leaf or dry leaf, which has the quantitative character,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leaf length
and fresh leaf weight (0.7642), between leaf width and fresh leaf weight (0.8411), also between leaf area
and fresh leaf weight (0.8146).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